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린 왕자(Le Petit Prince)」활용 방과후 프로그램 내용구성 연구

이용수  28

영문명
Study on Content Development of an After-School Program Using 'The Little Prince (Le Petit Prince)'
발행기관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저자명
황성원(Sung-Won Hwang) 박지안(Ji-An Park)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제29권 제3호, 189~21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전 세계의 많은 독자층을 보유한 생텍쥐페리의「어린 왕자(Le Petit Prince」를 활용하여 학령기 아동 1,2학년을 대상으로 방과후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였다. 연구 문제는 두 가지로 방과후 프로그램의 최종안은 어떠한지, 방과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과정은 어떠한지를 중점적으로 알아보았다. 먼저 방과후 프로그램은 아동의 보편적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12가지로 정하여 총 10회 활동을 두 묶음으로 제안하였다. 이렇게 제안한 이유는 고정된 방과후 프로그램보다는 운영자에 따라 융통성 있게 조정할 수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또한 실행과정에서 작성한 총 43쪽의 실행일지와 2개 기관장 자문을 통해 질적 분석을 실시하여 다섯 가지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어린 왕자(Le Petit Prince」를 각색하는 방향과 역량, 활동 기대와 목표, 활동 진행 방법, 정서 이해와 표현, 자기 성찰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각 개념 안에 두 가지 주제로 아동발달과 이해 수준 고려, 작품 이해와 연구자 역량, 기본 인성과 문해력, 경쟁과 협력을 통한 사회관계, 동기부여 발문과 활동 욕구 촉진, 이야기에서 체험활동으로, 공감과 감정 교류, 다양한 정서 표현, 활동 운영의 유연성과 연령별 맞춤 조절과 지원으로 총 10개의 주제로 분석하였다. 「어린 왕자(Le Petit Prince」활용 방과후 프로그램은 향후 유아의 사회정서역량을 키울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으며, 유아교육과 초등돌봄의 이음교육으로 확장하기 위해 유아 대상 방과후 과정에서 충분히 적용 가능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an after-school program for first and second-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using Antoine de Saint-Exupéry's widely-read classic, Le Petit Prince (The Little Prince). The research focused on two main questions: identifying the final composition of the after-school program and examining the execution process of the program. Initially, the after-school program was structured into two sets comprising a total of ten sessions, based on twelve essential program components reflect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his design allowed flexibility for adaptation by individual program facilitators rather than being rigidly fixe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etailed execution logs spanning 43 pages and consultation with two institution directors. The analysis identified five key conceptual categories: adapting Le Petit Prince (The Little Prince), anticipated outcomes and objectives, activity implementation methods, emotional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and self-reflection. Within these categories, ten specific themes emerged: Consideration of child development and comprehension level, Understanding the literature and researcher capabilities, Basic character development and literacy skills,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competition and cooperation, Motivational questioning and activity desire stimulation, Transition from storytelling to experiential activities, Empathy and emotional exchange, Diverse emotional expression, Operational flexibility of activities, Age-appropriate adjustments and support. The after-school program utilizing Le Petit Prince (The Little Prince) has potenti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children's socio-emotional competencies and can effectively bridg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lementary care, thus expanding into after-school programs tailored for preschool children.

목차

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성원(Sung-Won Hwang),박지안(Ji-An Park). (2025).「어린 왕자(Le Petit Prince)」활용 방과후 프로그램 내용구성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9 (3), 189-219

MLA

황성원(Sung-Won Hwang),박지안(Ji-An Park). "「어린 왕자(Le Petit Prince)」활용 방과후 프로그램 내용구성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9.3(2025): 189-2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