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Curriculum Operation Autonomy and Play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Competency and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조원주(Won Ju Jo) 정수진(Su Jin 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제29권 제3호, 221~24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과 디지털 놀이 지원역량 간의 관계에서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과 놀이성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네이버 폼과 직접 배부 방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회수된 282부를 SPSS 27.0 및 Process Macro 6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 디지털 놀이 지원역량은 디지털 역량,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 놀이성과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디지털 역량,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 놀이성 간에도 서로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 디지털 역량과 디지털 놀이 지원역량 간의 관계에서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은 단독으로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지만, 놀이성을 통한 이중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역량을 증진을 위해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curriculum operation autonomy and play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competencies and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ies.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Naver Forms and direct distribution to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282 return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7.0 program and Process Macro 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ie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gital competencies, curriculum operation autonomy, and playfulness,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digital competencies, curriculum operation autonomy, and playfulness. Second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competency and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curriculum operation autonomy alone was not significant as a mediating effect. However, the dual mediating effect through playfulness was significant.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efforts to improve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and curriculum operation autonomy are required to enhance their digital play support cap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3호 목차
- PBL 기반 유아사회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교수효능감 및 대인관계역량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를 활용한 유아 부적응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어린이집에서의 놀이치료가 부모-자녀 애착, 가족의사소통, 부모-교사 협력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인의 디지털 활용수준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과 고용유지의 이중매개효과
- 장애위험군 유아지도를 위한 보육교사 학습공동체의 경험과 의미
-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개정누리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언어교육 인식 및 언어교수효능감 변화에 대한 학습자 중심 언어지도 수업의 효과
- 발달장애 아동 아버지의 자녀 언어치료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어린 왕자(Le Petit Prince)」활용 방과후 프로그램 내용구성 연구
- 현직 보육교사의 디지털 놀이지원에 대한 인식 연구 - 디지털 매체활용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과 디지털 놀이 지원역량 간의 관계에서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과 놀이성의 이중매개효과
- 장애아통합어린이집 원장의 장애유아 초등학교 전이 지원에 대한 인식 및 지원 요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ast Asian law studies Vol.2 No.3 Contents
- 博采众长:民国时期的比较婚姻法视域
- 新时代“枫桥经验”视域下民事案件诉前调解功能异化风险分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