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Play Therapy on Parent-Child Attachment, Family Communication, and Parent-Teacher Cooperation in Childcare Center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박경옥(Kyong-Ok Park) 한유진(Yu-Jin Han) 유미(Yu Mi) 강주영(Joo-Young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제29권 제3호, 89~11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 실시한 놀이치료가 부모-자녀는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으로 동등하게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실험집단은 2024년 9월부터 2025년 2월까지 20회기를 진행하였고, 각 회기는 총 50분(놀이치료 40분, 부모 상담 10분)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가정-기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담임 교사와의 월 1회 면담을 통해 가정에 동등하게 지원해 줄 수 있는 주 호소 관련 내용에 대해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사전·사후 평가는 부모가 직접 작성하는 평가로 부모-자녀 애착 척도, 가족 의사소통 척도, 그리고 부모-교사 협력 척도를 활용하였다. 자료는 SPSS 21.0을 통한 Wilcoxon 순위 검정과 집단 간 동질성은 비모수 검증인 맨휘트니 U검정(Mann-Whitney U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집단은 부모-자녀 애착, 가족의사소통, 부모-교사 협력에서 모두 유의미한 개선을 보인 반면, 통제집단은 세 영역에서 모두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어린이집에서의 놀이치료가 가족 및 어린이집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주며, 향후 어린이집에서의 놀이치료가 적용되는 것에 있어 중요한 실증적 증거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lay therapy conducted in childcare centers on parent-child attachment, family communication, and parent-teacher cooperation. Sixteen children were equal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n = 8) and a control group (n = 8).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20 sessions of play therapy from September 2024 to February 2025, with each session lasting 50 minutes (40 minutes of play therapy and 10 minutes of parent counseling). To strengthen home-institution collaboration, monthly meetings were also held with homeroom teachers to discuss major concerns and provide consistent support for families. Pre- and post-assessments were conducted using parent-reported measures: the Parent-Child Attachment Scale, the Family Communication Scale, and the Parent-Teacher Cooperation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Wilcoxon signed-rank tests for within-group differences and Mann-Whitney U tests for group homogeneity with SPSS 21.0.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three areas—parent-child attachment, family communication, and parent-teacher cooperation—while the control group exhibited no significant change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play therapy in childcare centers for enhancing family and institutional interactions, providing important empirical evidence for its future application in early childhood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3호 목차
- PBL 기반 유아사회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교수효능감 및 대인관계역량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를 활용한 유아 부적응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어린이집에서의 놀이치료가 부모-자녀 애착, 가족의사소통, 부모-교사 협력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인의 디지털 활용수준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과 고용유지의 이중매개효과
- 장애위험군 유아지도를 위한 보육교사 학습공동체의 경험과 의미
-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개정누리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언어교육 인식 및 언어교수효능감 변화에 대한 학습자 중심 언어지도 수업의 효과
- 발달장애 아동 아버지의 자녀 언어치료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어린 왕자(Le Petit Prince)」활용 방과후 프로그램 내용구성 연구
- 현직 보육교사의 디지털 놀이지원에 대한 인식 연구 - 디지털 매체활용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과 디지털 놀이 지원역량 간의 관계에서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과 놀이성의 이중매개효과
- 장애아통합어린이집 원장의 장애유아 초등학교 전이 지원에 대한 인식 및 지원 요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ast Asian law studies Vol.2 No.3 Contents
- 博采众长:民国时期的比较婚姻法视域
- 新时代“枫桥经验”视域下民事案件诉前调解功能异化风险分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