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千定煥명예교수의 문화적 교정간호론 - 라이닝거 이론의 응용으로

이용수  6

영문명
The Culture-oriented Nursing Theory of Chun Jung hwan emeritus professor : as an application of Leininger's Theory of Nursing theory
발행기관
한국교정복지학회
저자명
천정환(JUNG HWAN CHUNG)
간행물 정보
『교정복지연구』第89號, 249~27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세까지는 돌봄으로서의 전문적인 간호의 개념은 없었으며 나이팅게일이 간호의 전문화를 시도한 이후 과학성에 기초한 다양한 간호이론들이 나왔다. 특히 라이닝거는 기존의 간호학자들과 달리 문화인류적 접근도 가미한 횡문화간호이론을 주장하면서 클라이언트가 가진 민속적 관행을 간호에서 존중하는 획기적인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간호이론들은 교정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지만 교정이념하의 교정간호는 수용자의 의료주권을 존중하는 수요자 지향적 간호가 되어야 수용자의 재사회화까지도 연결될 수 있는 측면에서 수용자의 민속의료적 관행을 존중하는 교정의료는 중요하다. 그런데도 기존의 한국 교정의료의 역사는 가치중립적인 의료기술적 측면이 강하게 지배하여왔다. 그 결과 수용자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탈문화적인 규격화된 의료로 일관되어 문화적 감수성에 기반한 개별화된 의료처우와 의료적 재사회화에 한계가 있어 왔다. 특히 의료인권의 강화와 외국인수용자의 증가로 교정의료에서도 기존의 문화맹목적인 규격화된 대량생산식의 교정의료로는 다양해지는 수용자의 의료만족도의 향상에 한계가 있어 왔다. 그런 점에서 의료문화적 특성을 이해하는 기초위에서 접근하는 라이닝거의 횡문화적 간호이론은 교정간호에서도 충분히 의의가 있음에도 2024년까지 국내외의 교정간호연구에서는 라이닝거이론에 기반한 교정간호연구는 전혀 없었다. 이에 필자가 최초로 라이닝거의 간호이론을 원용하여 이를 교정문화적 간호라는 이름으로 창설하면서 이론화하였다. 우선 횡문화간호이론을 소개한 후 독창적인 관점에서 비판 한 뒤에 시사점과 한계를 독창적으로 서술하였다. 라이닝거의 간호이론은 기존의 학자와 달리 간호학외에 의료인류학적인 문화적 접근을 한 공헌은 크다. 그러나 조직내의 사회학적인 관점과 클라이언트와 의료인력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사회심리학적 요소와 시행에 필요한 시간 등의 기회비용을 고려한 의료경제학적 접근의 부족 등 학제적 관점이 부족하다는 점을 비판하였다. 연구목적은 기존논문들의 탈 문화적 교정의료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의료문화적 관습이 내재화된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경우에는 그런 의도를 존중하는 방향위에서 행해지는 문화적 교정간호의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이며 접근법은 학제적 접근으로 하였다. 결론에서는 문화지향적 교정간호의 방향을 독창적으로 제시하였다. 그 전제는 교정의료의 탈상품화,탈관료화,탈정치화,교정의료(간호)의 탈의료제국주의적 권력화와 교정의료인력의 충분한 확보와 문화간호적 역량의 향상 및 한방의료도 포섭하는교정통합의료의 확립이다.

영문 초록

Until the Middle Ages, there was no concept of professional nursing as care, and since Nightingale attempted to specialize nursing, various nursing theories based on science emerged. Reininger laid the groundwork for respecting the folk practices of clients in nursing, arguing for transcultural nursing theory with a cultural and humanistic approach.These nursing theories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orrection. Correctional care that respects the folk medical practices of prisoners is important in that correctional care can be linked to the re-socialization of prisoners only when it is consumer-oriented nursing that respects the medical sovereignty of prisoners. Nevertheless, the history of Korean prison medicine has been dominated by value-neutral medical technology.As a result, there has been a limit to individualized medical treatment and medical resocialization based on cultural sensitivity because it is consistent with deculturalized standardized medical care that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inmate.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 prisoners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human rights of prisoners there has been a limit to the improvement of the medical satisfaction of the prisoners who are diversified by the conventional culture-blind, standardized mass-produced correction treatment.Therefore, Leininger's transcultural nursing theory, which is approached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the med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prisoners, has sufficient significance in correction nursing, but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correctional nursing based on Leininger's transcultural nursing theory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on correctional nursing by 2024. For the first time, I used Leininger's nursing theory and theorized it as cultural correctional nursing.First of all, I introduced Leininger's nursing theory and criticized it from an original point of view, and describ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creatively. Lininger's nursing theory, unlike conventional scholars, ha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a medical anthropological and cultural approach other than nursing. The purpose is to point out the problem of the existing studies lacking a cultural correctional nursing perspective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cultural correctional nursing on the direction of respecting such intention if the client with internalized medical and cultural customs desires.The research method was a literature review and the approach was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 conclusion, I creatively suggested the direction of culture-oriented correctional nursing.I criticized her theory for lacking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such as a sociological perspective and a lack of a medical economic approach that takes into account opportunity costs such as sociopsychological factors occuring between clients and healthcare personneland time required for implementation. The premise is to de-commodify, de-bureaucratize, de-politicize, de-medical imperialist power and secure enough correctionalmedical personnel, improve cultural nursing capacity, and establish correctional integrated medicine that includes oriental medicine.

목차

Ⅰ. 서 론
Ⅱ. 교정간호의 개념과 형태
Ⅲ. 라이닝거의 횡문화간호이론
Ⅳ. 횡문화간호이론에 대한 비판(사견)
Ⅴ. 횡문화간호이론의 교정간호적 시사점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천정환(JUNG HWAN CHUNG). (2025).千定煥명예교수의 문화적 교정간호론 - 라이닝거 이론의 응용으로. 교정복지연구, (), 249-279

MLA

천정환(JUNG HWAN CHUNG). "千定煥명예교수의 문화적 교정간호론 - 라이닝거 이론의 응용으로." 교정복지연구, (2025): 249-2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