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Negative Emotions and Self-Injurious Behavior Among Juvenile Detainees: A Dual Moderated Mediation Model
- 발행기관
- 한국교정복지학회
- 저자명
- 류민지(Min Ji Yoo) 김유경(Yoo Kyong Kim)
- 간행물 정보
- 『교정복지연구』第89號, 33~6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소년원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자해충동을 매개로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가 자해행동에 미치는 간접경로 및 자해신념 및 자해생각의 조절효과를 통합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소년원에 수감 중인 청소년 455명의 설문자료를 Process macro model 4와 6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부정적 정서(우울, 불안, 분노)는 자해충동을 매개로 자해행동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나타냈으며, 자해신념의 수준에 따라 간접효과의 강도는 달라졌고 자해생각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해신념이 부정적 정서와 자해충동 간의 경로를 강화하는 인지적 조절요인으로 기능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자해행동의 정서적, 충동적, 인지적 요인이 상호작용하는 통합적 기제를 실증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는 소년원 청소년을 위한 효과적인 자해 예방 및 개입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겠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self-injurious behaviour among juvenile detainees by the indirect effect of negative emotions on self-injurious behaviour through urge to self-injury. Based on a dual moderated mediation framework, the research explored the indirect effect of negative on self-injury through self-injury impulse, and the moderating roles of self-injury belief and self-injury ideation in this pathway. Data were collected vi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among juveniles in detention facilities in South Korea(N=455). The hypothesized model was tested using PROCESS Macro Model 60.
The results indicated that negative emotions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exerte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self-injurious behavior via self-injury urge. Moreover, the strength of these indirect effects varied depending on the levels of self-injury belief.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elf-injury belief functions as a cognitive moderator that intensify the pathway from negative emotions to self-injury urge and self-injurious behaviour. By empirically presenting an integrated mechanism involving emotional, impulsive, and cognitive factors,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more effectiv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argeting self-injurious behaviors in juvenile detaine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정복지연구 제89호 목차
- 재범 원인의 귀인양식과 교화 가능성의 인식차이가 수형자의 사회복귀에 대한 대중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소년원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와 자해행동 간 관계에서 자해충동의 매개 및 인지적 요인의 조절효과
- 교정복지실천에서 사회복지사의 정체성과 전문성 강화 방안
-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청소년의 자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최근 청소년 마약범죄의 실태와 효율적 대응방안 연구
- 치유농업 기반 재범예방 프로그램개발 연구: 감정주기 이론을 중심으로
- 여성 재소자의 직업교육 지원에 관한 연구 - 성공적 재사회화 방안을 중심으로
- 긍정심리기반 서각활동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약물중독자의 단약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수용자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 千定煥명예교수의 문화적 교정간호론 - 라이닝거 이론의 응용으로
- 수형자들의 불안이 자살실행력에 미치는 영향:공격성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현대사회와 행정 제35권 제3호 목차
- 약자동행 가치 확산을 위한 전략적 정책관리: 약자동행지수의 전략적 활용을 중심으로
- 청년 고용 정책의 정책목표 설계 및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미래내일일경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