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recidivism attribution styles and rehabilitation beliefs on public attitudes toward prisoners’ social reintegrations
- 발행기관
- 한국교정복지학회
- 저자명
- 김민지(Minji Kim) 이정원(Jungwon Lee)
- 간행물 정보
- 『교정복지연구』第89號, 1~3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정 행정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수형자의 사회복귀에 대한 태도가 재범 원인에 대한 사회과정과 심리·생물학적 귀인양식, 교화 가능성에 대한 대중의 인식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172명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화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질수록 수형자의 사회복귀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한편 재범 원인에 대한 사회과정과 심리·생물학적 귀인양식 모두 그 자체로는 수형자의 사회복귀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사회과정 귀인양식과 교화 가능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수형자의 사회복귀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경향성을 보였다. 이는 사회과정 귀인 성향이 높을수록 교화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수형자의 사회복귀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더욱 강화됨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재범의 원인에 대한 귀인양식보다 교화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수형자의 사회복귀에 대한 태도 형성에 더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특히 재범의 사회적 원인에 주목하는 대중에게서 그 효과가 두드러짐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public attitudes toward the reintegration of offenders—an issue of ongoing concern in correctional administration—differ depending on attributional styles regarding recidivism (i.e., social process versus psychological/biological attributions) and perceptions of rehabilitative potential.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adults aged 20 and above residing in South Korea, and responses from 172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higher perceptions of rehabilitative potential were associated with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offender reintegration. While neither social process nor psychological/biological attributions alone significantly predicted reintegration attitude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emerged: the positive effect of perceived rehabilitative potential on reintegration attitudes was stronger among individuals who endorsed higher levels of social process attribu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rceptions of rehabilitative potential play a more central role than causal attributions in shaping public attitudes toward offender reintegration, particularly among those who emphasize the social causes of recidivis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정복지연구 제89호 목차
- 재범 원인의 귀인양식과 교화 가능성의 인식차이가 수형자의 사회복귀에 대한 대중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소년원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와 자해행동 간 관계에서 자해충동의 매개 및 인지적 요인의 조절효과
- 교정복지실천에서 사회복지사의 정체성과 전문성 강화 방안
-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청소년의 자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최근 청소년 마약범죄의 실태와 효율적 대응방안 연구
- 치유농업 기반 재범예방 프로그램개발 연구: 감정주기 이론을 중심으로
- 여성 재소자의 직업교육 지원에 관한 연구 - 성공적 재사회화 방안을 중심으로
- 긍정심리기반 서각활동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약물중독자의 단약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수용자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 千定煥명예교수의 문화적 교정간호론 - 라이닝거 이론의 응용으로
- 수형자들의 불안이 자살실행력에 미치는 영향:공격성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현대사회와 행정 제35권 제3호 목차
- 약자동행 가치 확산을 위한 전략적 정책관리: 약자동행지수의 전략적 활용을 중심으로
- 청년 고용 정책의 정책목표 설계 및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미래내일일경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