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긍정심리기반 서각활동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약물중독자의 단약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

영문명
The Effects of a Positive Psychology-Ba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Abstinence Self-Efficacy in Individuals with Substance Addiction
발행기관
한국교정복지학회
저자명
백은정(Eun-Jeong Baek) 김영진(Young-Jin Kim) 이현희(Hyun-Hee Lee) 이승욱(Seung-Uk Lee)
간행물 정보
『교정복지연구』第89號, 199~22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긍정심리기반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회복중인 약물중독자의 단약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긍정심리기반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은 회복중인 약물중독자들의 심리적·정서적 회복을 위한 개입으로 긍정심리의 주요 이론인 긍정정서, 관계, 몰입 이론을 바탕으로 나무에 글을 새기는 서각활동을 활용하여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단약자기효능감의 하위개념인 부정적 사고, 사회적 압력, 신체적 고통, 금단 및 갈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K시에 소재한 치료공동체 입소자 16명이며, 실험집단 8명, 비교집단 8명으로 배치하여 비동일비교집단설계로 진행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사전 단약자기효능감 검사를 한 후 실험집단에는 주 2회 60분씩 8회기 프로그램을 제공하였고, 비교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종료 후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긍정심리기반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은 약물중독자의 단약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약자기효능감의 하위개념인 부정적 사고, 사회적 압력, 신체적 고통, 금단 및 갈망은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긍정심리기반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의 매회기에 구성된 서각활동이 목재 소재의 질감이 주는 정서적안정, 작품 활동의 몰입, 작품 완성을 통한 성취감 그리고 나무에 단약을 위한 긍정어가 긍정정서를 확장시켜 회복동기를 이끄는 매개가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긍정심리기반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positive psychology-ba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abstinence self-efficacy of individuals recovering from substance addiction. The program was designed as an intervention to support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ecovery of recovering addicts. It was grounded in the core theories of positive psychology—positive emotions, relationships, and flow—and incorporated woodcarving activities, where participants engraved words into wooden panels, as a form of group art therapy. The study assessed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in improving the subcomponents of abstinence self-efficacy, namely negative thoughts, social pressure, physical discomfort, and withdrawal and craving. The participants were 16 residents of a therapeutic community located in city K, who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8) and a comparison group (n=8) follow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Both groups completed a pre-test of abstinence self-efficac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eight 60-minute sessions held twice a week, while the comparison group received no treatment. After the program was completed, a post-test was administered, and changes between the pre- and post-tests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ositive psychology-ba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enhancing abstinence self-efficacy among individuals recovering from substance addic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found in all four subdomains: negative thoughts, social pressure, physical discomfort, and withdrawal and crav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woodcarving activities embedded in each session contributed to emotional stability through the tactile qualities of the wood, promoted flow experiences through creative engagement, and enhanced a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the completion of artworks. Moreover, engraving positive abstinence-related words on wood appeared to broaden positive emotions and served as a catalyst for recovery motiv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s the limitations of the program and offer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은정(Eun-Jeong Baek),김영진(Young-Jin Kim),이현희(Hyun-Hee Lee),이승욱(Seung-Uk Lee). (2025).긍정심리기반 서각활동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약물중독자의 단약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정복지연구, (), 199-228

MLA

백은정(Eun-Jeong Baek),김영진(Young-Jin Kim),이현희(Hyun-Hee Lee),이승욱(Seung-Uk Lee). "긍정심리기반 서각활동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약물중독자의 단약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정복지연구, (2025): 199-2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