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asures to strengthen the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of social workers in correctional welfare practice
- 발행기관
- 한국교정복지학회
- 저자명
- 박영숙(Young Suk Park)
- 간행물 정보
- 『교정복지연구』第89號, 61~8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교정현장에서 활동하는 사회복지사의 정체성과 전문성을 진단하고, 교정사회복지사 제도화 및 역량 강화를 위한 종합적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헌고찰과 국내·외 제도 비교 등을 통해 한국 사회복지사의 교정복지 참여가 법제적, 구조적 한계 속에서 매우 제한적임을 확인하였다. 반면 미국, 영국, 캐나다, 일본 등에서는 교정복지사가 다학제 팀의 핵심 구성원으로서 재범 방지와 사회적 재통합을 선도하고 있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사회복지사가 교정사회복지사로서 정체성 및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첫째, 정책 및 제도의 개선 둘째, 교육·훈련 및 슈퍼비전 체계 구축 셋째, 다학제·지역사회 연계 플랫폼 강화 넷째, 근거기반 실천과 성과 평가 지표 확립 다섯째, 윤리·가치 기반 전문직 문화 확립이 필수적임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of social workers working in Korean correctional settings and to suggest comprehensive measures for institutionalizing correctional social workers and strengthening their capabilit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omparison of domestic and foreign systems,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ticipation of Korean social workers in correctional welfare is very limited due to legal and structural limitations. On the other hand,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Canada, and Japan, correctional social workers are leading the prevention of recidivism and social reintegration as core members of multidisciplinary team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following measures are essential for Korean social workers to strengthen their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as correctional social workers: first, improvement of policies and systems; second, establishment of education, training, and supervision systems; third, strengthening of multidisciplinary and community-based platforms; fourth, establishment of evidence-based practices and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and fifth, establishment of a professional culture based on ethics and valu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한국 교정현장에서의 사회복지사 활동 및 외국의 사례
Ⅳ. 교정복지실천에서의 사회복지사 정체성 및 전문성 강화 전략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정복지연구 제89호 목차
- 재범 원인의 귀인양식과 교화 가능성의 인식차이가 수형자의 사회복귀에 대한 대중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소년원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와 자해행동 간 관계에서 자해충동의 매개 및 인지적 요인의 조절효과
- 교정복지실천에서 사회복지사의 정체성과 전문성 강화 방안
-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청소년의 자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최근 청소년 마약범죄의 실태와 효율적 대응방안 연구
- 치유농업 기반 재범예방 프로그램개발 연구: 감정주기 이론을 중심으로
- 여성 재소자의 직업교육 지원에 관한 연구 - 성공적 재사회화 방안을 중심으로
- 긍정심리기반 서각활동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약물중독자의 단약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수용자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 千定煥명예교수의 문화적 교정간호론 - 라이닝거 이론의 응용으로
- 수형자들의 불안이 자살실행력에 미치는 영향:공격성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현대사회와 행정 제35권 제3호 목차
- 약자동행 가치 확산을 위한 전략적 정책관리: 약자동행지수의 전략적 활용을 중심으로
- 청년 고용 정책의 정책목표 설계 및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미래내일일경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