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dvancements and Prospects of AI-based Handwritten Text Analysis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오수문(Soo-Moon Oh)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第110輯, 257~27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n this article, I first overview the impact that the rapid development of IT and AI has on various sectors of society and then analyse how AI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the decipherment and restoration of ancient written materials, especially wooden tablets.
AI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technology that opens up possibilities for generating new interpretations based on the reconstruction of characters and pattern analysis. Thus, various research projects have been proposed for scientific research programmes in Japan. Examples include research aiming to restore damaged documents using the image recognition and text generation functions of AI, and research projects applying deep learning methods to handwritten characters in order to analyse their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seeks to distinguish it from those mentioned above. More specifically, I point out the effectiveness of an indirect approach that not only achieves the direct recognition of undeciphered characters but also supplements them based on their relationship with already deciphered characters. In future research, I hope that the AI analysis will be advanced in combination with contemporary international sources.
영문 초록
本稿は、ITとAIの急速な発展が社会各分野にもたらす影響を概観した上で、特にAI技術が古代文字史料、なかでも木簡の解読や修復にどのように応用させられるかを考察するものである。 AIは文字の欠損補完やパターン分析により新たな解釈の可能性を開く技術として注目されており、日本国内の科研事業でも様々な研究が申請されている。たとえば、画像認識や文字生成AIを用いて劣化した文書の修復を目指す研究や、手跡文字の特徴を深層学習で分析するプロジェクトなどが挙げられる。 よって筆者は、上記のような研究とは差別化を行ない、未判読文字を直接認識させるだけでなく、判読済み文字との関係性から補完するという間接的アプローチの有効性を指摘し、将来的には同時代の国際的史料の併用によるAI解析の高度化にも期待を寄せている。
목차
1. はじめに
2. 現代におけるIT·AIの影響
3. 日本のAIを使用した科研研究
4. 木簡とAI
5. 結び
参考文献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일 온라인교류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한일 대학생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일본어 한자어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일본어 비전공자의 일본취업 준비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일본어 모어화자의 외래어 사용 실태와 한국인 학습자의 인식 분석
- 複合辞의 成立과 그 変遷過程에 관한 연구 - 「くせ」가 포함된 複合辞를 중심으로
- 예비 일본어 교원을 위한 디지털 교육의 필요성과 향후 방향 - 수업사례와 학습자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일본 고전에서의 화폐가치 환산 오류 및 보정의 문제
- 내적 번민과 성찰의 메시지, 유언 - 『겐지모노가타리』로쿠조노미야스도코로(六条御息所)의 사례 연구
- 일본의 복신신앙(福神信仰) 고찰 - 다이코쿠텐(大黑天)을 중심으로
- 미우라 아야코 『시오카리 고개』 론 - 죄의 자각과 내면의 변화
- コロナ禍の新聞小説と現代社会の断層 - 川上未映子『黄色い家』を中心に
- 일본풍 스팀펑크 장르로서의 『귀멸의 칼날』
- AIを活用した文字分析の展望 - 古代記録物の中の判読不能部分を中心に
- 2000년대 인터넷 발달과 재일코리안 담론 형성
관련논문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NEW
- 한일 온라인교류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한일 대학생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일본어 한자어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일본어 비전공자의 일본취업 준비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