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Will as a Message of Inner Anguish and Reflection : A Case Study of Rokujono Miyasudokoro in Genji Monogatari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김수희(Su-Hee Kim)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第110輯, 147~16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A last will is often depicted in literary works as a heartfelt plea or final message left by someone facing death to the living. In Genji Monogatari, wills and letters of last wishes appear considerably, and these death-related scenes profoundly influence the lives of the survivors and have a decis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he monogatari. The words of the deceased guide the lives of the living. In this sense, the importance of the wills expressed in monogatari cannot be overstated. Meanwhile, Rokujono Miyasudokoro, a unique character in Genji Monogatari, also leaves behind a will. The will she left to Genji just before her death controls Genji’s actions and subsequentl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story. Previous studies generally interpret the will of Rokujono Miyasudokoro as an expression of ‘maternal practice’ concerning her daughter’s future, which is deemed a valid analysis. However, it is also hard to deny that if we become too focused on the aspect of ‘mother’, we may overlook certain facet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further explo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ill of Rokujono Miyasudokoro and ‘woman’, while still relying on the achievements of previous research. Through this, I aim to search for the potential of the ‘will’ as a record of the inner turmoil and reflection of the captivating woman that is Rokujono Miyasudokoro.
영문 초록
遺言は死を目前にした人が生きている人に残す切実なメッセージで、文学作品の中で劇的な場面として描写されることが多い。『源氏物語』にも遺言や遺書などが多数登場しているが、死に関わるこのような場面は残された人の人生に深く関わり、物語の展開にも決定的な影響を及ぼしている。死んでいく人の言葉が生きている人を呪縛していると言えるし、その意味で物語に現れた遺言の重要性は計り知れないと思われる。一方、六条御息所は『源氏物語』に登場する女君の中でも一際個性的な人物で、様々な面で異彩を放っている。愛情と執着、罪と救済など、様々な点で『源氏物語』の大きな主題とも深く関わっていると言わざるを得ないが、六条御息所は須磨から帰った光源氏と再会した際、切実な遺言を残している。周知のように、この際の遺言は源氏の行動や以後の物語を規制することになるが、従来、六条御息所の遺言は主に母性の側面で把握されてきた。これは様々な面で妥当と言わざるをえないが、ただ、そのような側面にあまりにも集中することでややもすれば見失われる側面もあると思われる。したがって本稿では、六条御息所の遺言を母性と共に女という視点で捉えなおし、古典原文に沿って考察してみた。これを通して六条御息所という女性の苦悩と内面のメッセージとして、遺言のもつ可能性を模索してみた
목차
1. 머리말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일 온라인교류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한일 대학생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일본어 한자어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일본어 비전공자의 일본취업 준비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일본어 모어화자의 외래어 사용 실태와 한국인 학습자의 인식 분석
- 複合辞의 成立과 그 変遷過程에 관한 연구 - 「くせ」가 포함된 複合辞를 중심으로
- 예비 일본어 교원을 위한 디지털 교육의 필요성과 향후 방향 - 수업사례와 학습자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일본 고전에서의 화폐가치 환산 오류 및 보정의 문제
- 내적 번민과 성찰의 메시지, 유언 - 『겐지모노가타리』로쿠조노미야스도코로(六条御息所)의 사례 연구
- 일본의 복신신앙(福神信仰) 고찰 - 다이코쿠텐(大黑天)을 중심으로
- 미우라 아야코 『시오카리 고개』 론 - 죄의 자각과 내면의 변화
- コロナ禍の新聞小説と現代社会の断層 - 川上未映子『黄色い家』を中心に
- 일본풍 스팀펑크 장르로서의 『귀멸의 칼날』
- AIを活用した文字分析の展望 - 古代記録物の中の判読不能部分を中心に
- 2000년대 인터넷 발달과 재일코리안 담론 형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NEW
- 한일 온라인교류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한일 대학생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일본어 한자어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일본어 비전공자의 일본취업 준비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