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Japanese Native Speakers’ Use of Loanwords and Korean Learners’ Perceptions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박노순(Noh-Soon Park)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第110輯, 67~8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n this paper, I extract loanwords that appear in the daily conversations of native Japanese speakers, based on the CEJC (Corpus of Everyday Japanese Conversations). I further classify these loanwords according to semantic fields using a classification vocabulary list and compare them with loanwords found in newspapers. In addition, I report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survey that was conducted to examine Korean learners’ perceptions of loanwords in Japanese.
Only 27 loanwords appeared in the top 100 most frequent loanwords in daily conversations and those in newspapers. Whilst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loanwords in newspapers are most commonly related to “abstract relations,” the results of this survey indicate that loanwords in daily conversations are most frequently related to “products and tools.” In particular, most of them fall under the categories of “food” (1.43) and “tools” (1.45). These are followed by the category “daily life” (1.33), which corresponds to “human activity - mental and behavioural activities.”
In a questionnaire designed to explore learners’ perceptions of loanwords, 70% or more of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 number of loanwords in Japanese is increasing. The most challenging aspect of loanwords for language learners, according to their responses, is the difference in pronunciation between the loanwords and their original forms. On the other hand, the questions regarding the semantic distinction between loanwords and semantically similar Sino- Japanese words revealed that many learners struggle to make accurate distinctions.
영문 초록
本稿では、日常会話コーパスであるCEJCを基に日本語母語話者の日常会話に出現した外来語を抽出した後、分類語彙表に従って意味分野を分類し、新聞に出現した外来語と比較·対照した。また、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外来語に対する認識をアンケート調査した。 日常会話と新聞の頻度上位100位に共通して出現した外来語は27語のみであった。先行研究では新聞に出現する外来語は主に「抽象的関係」に該当する語が最も多いととされていたが本研究の結果、日常会話に出現する外来語は「生産物および用具」に該当するものが最も多く、特に「食料(1.43)」と「道具(1.45)」に該当する外来語が多かった。その次は「人間活動-精神および行為」に該当する「生活(1.33)」の順になった。 学習者の外来語に対する認識を尋ねたアンケートでは、70%以上の学習者が日本語における外来語が増加していることを認識していると答えた。外来語学習に最も難しい点は外来語の発音が原語と異なることを挙げた。 一方、外来語と類義関係にある漢字語との意味の弁別に関する質問に対しては、多くの学習者が正確な弁別ができず、困っ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
목차
1. 시작하며
2. 분석 대상 및 방법
3. 분석
4. 마치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일 온라인교류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한일 대학생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일본어 한자어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일본어 비전공자의 일본취업 준비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일본어 모어화자의 외래어 사용 실태와 한국인 학습자의 인식 분석
- 複合辞의 成立과 그 変遷過程에 관한 연구 - 「くせ」가 포함된 複合辞를 중심으로
- 예비 일본어 교원을 위한 디지털 교육의 필요성과 향후 방향 - 수업사례와 학습자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일본 고전에서의 화폐가치 환산 오류 및 보정의 문제
- 내적 번민과 성찰의 메시지, 유언 - 『겐지모노가타리』로쿠조노미야스도코로(六条御息所)의 사례 연구
- 일본의 복신신앙(福神信仰) 고찰 - 다이코쿠텐(大黑天)을 중심으로
- 미우라 아야코 『시오카리 고개』 론 - 죄의 자각과 내면의 변화
- コロナ禍の新聞小説と現代社会の断層 - 川上未映子『黄色い家』を中心に
- 일본풍 스팀펑크 장르로서의 『귀멸의 칼날』
- AIを活用した文字分析の展望 - 古代記録物の中の判読不能部分を中心に
- 2000년대 인터넷 발달과 재일코리안 담론 형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NEW
- 한일 온라인교류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한일 대학생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일본어 한자어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일본어 비전공자의 일본취업 준비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