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Historical Change of Japanese Compound Word : Focusing on Sentence Pattern Including 「Kuse」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안지영(Ji-Young An)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第110輯, 87~10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Compound words that contain “kuse” are “kuseni” and “kuseshite”, which can be attached to conjugated words or to the particle “no” that connects to a noun. Also, they can be used as conjunction particles and sentence-final particles. In this survey, a total of 14 examples of “kuseni” were collected from classical texts, including 11 examples as conjunction particles and three examples as sentence-final particles, however, “kuseshite” was not observed. In modern Japanese, “kuseni” is often used in conversational texts, but it is also used to describe situations. All of the examples collected from classical texts are used in dialogues in criticizing or despising the other person. In this survey, the first appearance of “kuseni” was extracted from Ihara Saikaku’s Ukiyo-zoshi work “Koshoku Ichidai Onna”. It is used as a conjunction particle in the form “-no kuneni”. In the usage of “kuneni” to connect a noun, “no” has been used since 1686, which shows that it was used about 120 years earlier than currently recognized as the first appearance. “Kuseni” as a conjunction particle is confirmed in “Harutsugetori” and it is approximately 26 years earlier than previous research shows. It is used in the same way as modern Japanese usage, such as not being able to be used with natural phenomena or inanimate subjects and not being able to be used in the first person. This shows that it was already established and used as a compound word at that time.
영문 초록
「くせ」が含まれている複合辞には「くせに」「くせして」がある。今回の調査では、古典テキストにて、「くせに」は接続助詞の働きをするものが11用例、終助詞の働きをするものが3用例あり、合計14個の用例が採集されたが、「くせして」は抽出されなかった。現代日本語では「くせに」は会話文で使われることも多いが、状況の描写などでも使われる。しかし、古典テキストにて採集された用例はすべて対話文で相手を非難したり軽蔑するニュアンスで使われている。本調査では井原西鶴の浮世草子作品の『好色一代 女』から「くせに」の初出が抽出された。「-のくせに」の形で接続助詞の働きをする用法である。体言を受けて助詞「の」に接続する「くせに」の用法は1686年頃から使用されており、現在これらの用法の初出として認められていた用法より120年ほど早い時期から使用されていたことが分かる。終助詞の働きをする「くせに」は『春告鳥』にて確認でき、先行研究より26年ほど早い資料で確認することができた。自然現象や無生物主語には使用できず、一人称には使用できないなど現代日本語用法と同じように使われており、当時すでに複合辞として定着し、使用されていたことが分かる。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일 온라인교류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한일 대학생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일본어 한자어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일본어 비전공자의 일본취업 준비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일본어 모어화자의 외래어 사용 실태와 한국인 학습자의 인식 분석
- 複合辞의 成立과 그 変遷過程에 관한 연구 - 「くせ」가 포함된 複合辞를 중심으로
- 예비 일본어 교원을 위한 디지털 교육의 필요성과 향후 방향 - 수업사례와 학습자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일본 고전에서의 화폐가치 환산 오류 및 보정의 문제
- 내적 번민과 성찰의 메시지, 유언 - 『겐지모노가타리』로쿠조노미야스도코로(六条御息所)의 사례 연구
- 일본의 복신신앙(福神信仰) 고찰 - 다이코쿠텐(大黑天)을 중심으로
- 미우라 아야코 『시오카리 고개』 론 - 죄의 자각과 내면의 변화
- コロナ禍の新聞小説と現代社会の断層 - 川上未映子『黄色い家』を中心に
- 일본풍 스팀펑크 장르로서의 『귀멸의 칼날』
- AIを活用した文字分析の展望 - 古代記録物の中の判読不能部分を中心に
- 2000년대 인터넷 발달과 재일코리안 담론 형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NEW
- 한일 온라인교류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한일 대학생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일본어 한자어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일본어 비전공자의 일본취업 준비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