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struct Validation Study of Startup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이가형(Ga Hyung Lee) 이재현(Jae Hyun Lee)
- 간행물 정보
- 『경영연구』第40卷 第3號, 137~15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디지털 전환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스타트업 기업이 혁신 생태계의 핵심 주체로 부상하면서, 스타트업 기업가의 역량이 기업 성과와 생존에 미치는 영향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일반적인 기업가 역량과 스타트업 특유의 역량을 구분하지 않고 있으며, 스타트업 기업가 역량을 체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한 도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스타트업 기업가 역량을 직무, 소통, 성과의 3개 영역으로 구조화하 고, 이를 측정하는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춘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된 요인에 대한 조작적 정의와 110개의 예비문항을 전문가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후 스타트업에 종사한 경험이 있는 546명을 대상으로 측정도구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EFA)과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통해 요인구조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스타트업 기업가 역량은 직무역량(7개 요인), 소통역량(4개 요인), 성과역량(3개 요인)의 3개 영역 14개 요인 총 78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CFI=0.933 (>0.90), TLI=0.916(>0.90), RMSEA=0.083(<0.10)으로 모형 적합도가 양호하게 나타났다. 신뢰도 분석 결과 전체 척도의 Cronbach's α=0.948이며, 각 요인별 신뢰도는 0.845∼0.980 범위로 우수한 내적 일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스타트업 기업가 역량을 측정하는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춘 척도를 개발함으로써, 스타트업 기업가 역량 연구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였다. 개발된 척도는 스타트업 기업가의 역량 진단과 교육프로그램 설계, 창업지원정책 수립 등에 실무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As startups emerge as key players in the innovation ecosystem amid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creasing attention is being paid to how startup entrepreneurs’ competencies influence business performance and survival. However, existing studies often fail to distinguish between general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and those unique to startups, and there is a lack of valid tools for systematically measuring the competencies of startup entrepreneur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reliable and valid scale for measuring startup entrepreneurs’ competencies by structuring them into three domains: task, communication, and performance.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110 preliminary items were generated and validated by experts. A survey was then conducted with 546 individuals who had experience working in startup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ere used to verify the factor structure. The results indicate that startup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consist of 14 factors across 3 domains—task competency (7 factors), communication competency (4 factors), and performance competency (3 factors)—comprising a total of 78 items. The CFA results showed good model fit indices: CFI = 0.933 (>0.90), TLI = 0.916 (>0.90), and RMSEA = 0.083 (<0.10). Reliability analysis demonstrated strong internal consistency, with an overall Cronbach's α of 0.948 and factor-level reliability ranging from 0.845 to 0.980. This study provide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research on startup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by developing a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scale. The developed scale can be practically utilized for competency assessment, the design of educational programs for startup entrepreneurs, and the formulation of startup support polic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실증분석 모형과 데이터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 리더-구성원 간 목표상호의존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몰입과 창의적행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의 관계: 접근·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과 경력단계의 조절효과
- 국내 제조업 환경 혁신을 통한 혁신 성과 촉진: 제품 및 공정 혁신 활동의 조절효과
-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국내 식품제조업 한계기업 분석
- 사업체 임금구조 변화와 임금피크제 운영 전략에 관한 실증 연구
- 대학생의 소셜벤처 창업의지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 사회적기업가정신 및 창업환경특성의 조절효과
- 스타트업 기업가 역량의 구성 요인 타당화 연구
- 「그리드플레이션」기업의 과도한 가격 인상이 시장에 존재하는가: 국내 음식료 기업을 중심으로
- 청년(예비)창업자의 외식분야 소자본 창업에 대한 인식과 성공요인
- 기업의 혁신역량과 인구통계학적 요소가 지역 소득성장에 미치는 영향
- 주도적 성격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직무 자율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 리더-구성원 간 목표상호의존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몰입과 창의적행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의 관계: 접근·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과 경력단계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