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atalyzing Innovation Performance through Environmental Innovation: Evidence from Korea’s Manufacturing Industry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유다빈(Da-Bin Yoo) 허아정(A-Jung Heo) 유효진(Hyo-Jin Yu)
- 간행물 정보
- 『경영연구』第40卷 第3號, 71~9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환경 문제가 글로벌 차원에서 중요한 의제로 부상하면서, 기업들은 지속 가능한 경영 전략의 일환으로 환경 혁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본 연구는 환경 혁신을 기업의 생산 관련 환경 혁신과 소비자의 제품 사용 관련 환경 혁신으로 구분하고, 이들이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제품 혁신과 공정 혁신 활동을 조절 변수로 설정하여, 이 두 가지 혁신 활동이 환경 혁신의 성과를 어떻게 강화하는지를 동적역량이론의 틀 안에서 탐색한다. 실증 분석에는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한 ‘기술혁신조사 2022’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각 환경 혁신 유형이 기업의 내부 효율성과 외부 시장 경쟁력에 상이한 방식으로 혁신 성과에 기여하며, 제품 혁신과 공정 혁신 활동이 이 관계를 유의미하게 조절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환경 혁신이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경쟁력 확보에 어떠한 전략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환경 혁신의 효과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향후 기업이 추구해야 할 혁신 활동의 방향성과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As environmental issues emerge as a critical global agenda, companies are increasingly adopting environmental innovation as part of their sustainable management strategies. This study classifies environmental innovation into two categories—process-related environmental innovation and product-use-related environmental innovation—and analyzes their impact on firms' innovation performance. It further explores how product innovation and process innovation activities, as moderating variables,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innov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dynamic capabilities theory. The empirical analysis is based on data from the 2022 Korean Innovation Survey, targeting Korean firms. The results show that each type of environmental innovation contributes to innovation performance through different mechanisms, affecting both internal efficiency and external market competitiveness. Furthermore,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 activities significantly moderate these relationships. This study provides strategic insights into the effective management of environmental innovation and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for firms seeking sustainable growth and long-term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innov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가설 설정
Ⅳ. 연구방법
Ⅴ. 분석결과
Ⅵ.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 리더-구성원 간 목표상호의존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몰입과 창의적행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의 관계: 접근·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과 경력단계의 조절효과
- 국내 제조업 환경 혁신을 통한 혁신 성과 촉진: 제품 및 공정 혁신 활동의 조절효과
-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국내 식품제조업 한계기업 분석
- 사업체 임금구조 변화와 임금피크제 운영 전략에 관한 실증 연구
- 대학생의 소셜벤처 창업의지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 사회적기업가정신 및 창업환경특성의 조절효과
- 스타트업 기업가 역량의 구성 요인 타당화 연구
- 「그리드플레이션」기업의 과도한 가격 인상이 시장에 존재하는가: 국내 음식료 기업을 중심으로
- 청년(예비)창업자의 외식분야 소자본 창업에 대한 인식과 성공요인
- 기업의 혁신역량과 인구통계학적 요소가 지역 소득성장에 미치는 영향
- 주도적 성격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직무 자율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 리더-구성원 간 목표상호의존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몰입과 창의적행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의 관계: 접근·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과 경력단계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