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이용수  0

영문명
The Impact of High-performance Work System(HPWS) on the Collec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The Implication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Multiple Unions
발행기관
한국산업경영학회
저자명
송정형(Jeungheoung Song) 김도현(Dohyun Kim) 김민철(Minchul Kim) 권순식(Soonsik Kwon)
간행물 정보
『경영연구』第40卷 第3號,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개별적 관계 중심의 인적자원관리 정책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은 학문적으로중요한 과제이다. 우리는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 기제인 노사관계 분위기, 노조조직률, 노사협의회에 미치는 영향 관계와 사업장 복수노조의 상황적 요인이 이들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사용한 표본은 한국노동연구원 사업체 패널자료의 6차(2015년)부터 9차(2021년)까지 자료 중에서 본 연구모델에서 사용하는 변수에 모두 응답한 고용규모 100인 이상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 균형패널자료이다. 분석결과 고성과작업시스템은 노조조직률에 한계적 수준에서 부(-)의 영향을 주고 노사관계 분위기와 노사협의회활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를 분석한 결과 복수노조는고성과작업시스템이 노사관계분위기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고 고성과작업시스템이 노사협의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복수노조가 고성과작업시스템과 노조조직률간 영향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복수노조 사업장의 경우 단수노조 사업장에 비해 노무관리적 통합문제가 야기될 수 있어 고성과작업시스템이 노사관계분위기에 미치는 영향을 희석할 수 있으나 노사협의회기능을 활성화하는 잇점이 부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이 결과에 대한 노사관계학적의미와 학문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act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on the collec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We analyzed empirically the impacts of HPWS on the atmosphere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union density rate, and labor-management committee. In addition, we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multiple union in the workplace on the causal relations between HPWS and collec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The balanced workplace panel data set from Korea Labor Institute, which the employment size was over 100 was utilized, This sample was analyzed by fixed panel data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HPWS made a negative impact on the union density in marginal level, but made positive impacts on both the atmosphere of labor-management relation and the activation of labor-management committee. Meanwhile, the multiple union neutralized the positive impacts of HPWS on the atmosphere of labor-management relation, and enforced the positive impacts of HPWS on the activation of labor-management committee, but the moderating effect of multiple union on the relation between HPWS and union density rate was not significant. We discussed not only the practical implications, but the academic meaningfulness of the results.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연구배경 및 가설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정형(Jeungheoung Song),김도현(Dohyun Kim),김민철(Minchul Kim),권순식(Soonsik Kwon). (2025).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경영연구, 40 (3), 1-26

MLA

송정형(Jeungheoung Song),김도현(Dohyun Kim),김민철(Minchul Kim),권순식(Soonsik Kwon).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경영연구, 40.3(2025):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