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Job Crafting and Burnout: The Interaction of Approach-Avoidance Job Craft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Stage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가오치엔니(Qian Ni Gao) 이환우(Hwan Woo Lee)
- 간행물 정보
- 『경영연구』第40卷 第3號, 53~7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잡크래프팅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경력단계의 조절효과를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둔다. 구체적으로, JD-R 이론을 기반으로 접근 잡크래프팅과 회피 잡크래프팅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개별적 영향뿐만 아니라, 접근·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경력단계가 접근 및 회피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 간의 관계에서 수행하는 조절 역할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중국 기업에 재직 중인 정규직 직원 432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접근 잡크래프팅과 회피 잡크래프팅은 모두 직무소진에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접근 및 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은 또한 직무소진을 완화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경력단계는 접근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 간 부의 관계를 약화하는 조절효과를 보였으나, 회피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 간의 관계 및 경력단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이에 대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exploring the impact of job crafting on burnou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stage. Specifically, based on JD-R theory, we aim to analyze the individual effects of approach and avoidance job crafting on burnout, as well as the interaction effects of approach and avoidance job crafting. We also aim to identify the moderating role that career stage play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roach and avoidance job crafting and burnout. To this en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a sample of 432 full-time employees in Chinese companies. The results show that, first, both approach and avoidance job crafting significantly reduce burnout; second, the interaction between approach and avoidance job crafting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mitigating burnout. Third, career stage moderat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pproach job crafting and burnout,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ce job crafting and burnout.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burnou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stage,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 리더-구성원 간 목표상호의존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몰입과 창의적행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의 관계: 접근·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과 경력단계의 조절효과
- 국내 제조업 환경 혁신을 통한 혁신 성과 촉진: 제품 및 공정 혁신 활동의 조절효과
-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국내 식품제조업 한계기업 분석
- 사업체 임금구조 변화와 임금피크제 운영 전략에 관한 실증 연구
- 대학생의 소셜벤처 창업의지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 사회적기업가정신 및 창업환경특성의 조절효과
- 스타트업 기업가 역량의 구성 요인 타당화 연구
- 「그리드플레이션」기업의 과도한 가격 인상이 시장에 존재하는가: 국내 음식료 기업을 중심으로
- 청년(예비)창업자의 외식분야 소자본 창업에 대한 인식과 성공요인
- 기업의 혁신역량과 인구통계학적 요소가 지역 소득성장에 미치는 영향
- 주도적 성격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직무 자율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 리더-구성원 간 목표상호의존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몰입과 창의적행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의 관계: 접근·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과 경력단계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