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mpirical Study on Changes in Wage Structures and the Operational Strategies of the Wage Peak System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박병진(Byungjin Park)
- 간행물 정보
- 『경영연구』第40卷 第3號, 107~11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가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정년연장이 정책적으로 검토되는 상황에서, 정년연장이 사업체의 임금체계 운영 및 비용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부터 2024년까지의 사업체노동력조사 부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하여 시계열 분석과 2024년 자료를 활용한 로짓회귀분석을 병행하였다. 분석결과, 정년 법제화 이후, 사업체 규모에 따라 임금체계 운영 방식의 변화 추세가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노동조합 존재여부에 따라 분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로짓분석에서는 노동조합이 있는 사업체는 호봉제와 임금피크제를 운영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호봉제를 운영하며 노동조합이 같이 있는 경우 임금피크제의 임금감액률이 낮은 수준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동조합의 유무뿐만 아니라, 노동조합의 조정 역량이 사업체의 임금체계 변화에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정년연장 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노사 간의 협력적 파트너쉽 구축이 제도 설계 및 실행의 핵심요소로 고려될 필요성이 있음을 본 연구는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the extension of the statutory retirement age influences firms’ wage structures and labor cost strategies in the context of an aging population. Using microdata from the Supplementary Labor Force Survey at establishment (2014-2024), the analysis combines time-series trends with a cross-sectional regression based on 2024 data. The findings show that firms with labor unions are more likely to operate seniority-based wage systems and adopt wage peak schemes. Moreover, these firms tend to apply lower wage reduction rates under the wage peak syste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oth the presence of labor unions and their ability to influence wage decisions—referred to as coordination capacity—play an important role in how firms respond to retirement age reforms. The study highlights that strong labor-management cooperation is essential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extended retirement policie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 리더-구성원 간 목표상호의존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몰입과 창의적행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의 관계: 접근·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과 경력단계의 조절효과
- 국내 제조업 환경 혁신을 통한 혁신 성과 촉진: 제품 및 공정 혁신 활동의 조절효과
-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국내 식품제조업 한계기업 분석
- 사업체 임금구조 변화와 임금피크제 운영 전략에 관한 실증 연구
- 대학생의 소셜벤처 창업의지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 사회적기업가정신 및 창업환경특성의 조절효과
- 스타트업 기업가 역량의 구성 요인 타당화 연구
- 「그리드플레이션」기업의 과도한 가격 인상이 시장에 존재하는가: 국내 음식료 기업을 중심으로
- 청년(예비)창업자의 외식분야 소자본 창업에 대한 인식과 성공요인
- 기업의 혁신역량과 인구통계학적 요소가 지역 소득성장에 미치는 영향
- 주도적 성격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직무 자율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 리더-구성원 간 목표상호의존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몰입과 창의적행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의 관계: 접근·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과 경력단계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