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Small-Capital Startup Success Factors in the Foodservice Sector for Young (Prospective) Entrepreneurs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정준이(Junee Jeong) 안희수(Hee-Su Ahn)
- 간행물 정보
- 『경영연구』第40卷 第3號, 169~18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년(예비)창업자의 외식 분야 소자본 창업에 대한 인식과 주요 성공 요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 고, 창업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정책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소자본 창업 가능성이 가장 큰 수도권 외식 관련 학과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창업 관심도, 주요 도전 과제, 성공 요인, 그리고 개인적 및 환경적 요인이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청년층의 외식업 창업에 대한 관심은 높으나, 초기 자본 부족과 운영 경험 부족이 주요 장애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차별화된 메뉴 개발과 효과적인 디지털 마케팅 전략이 중요한 성공 요인으로 인식되었다. 창업자의 리스크 감수 성향과 창업내적동기가 창업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업 아이템의 차별성 은 개인적 요인의 긍정적 영향을 강화하는 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정책인지정도는 창업자의 리스크 감수 성향 이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하는 조절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년 창업 활성화를 위한 맞춤지원 정책과 실질적인 창업 전략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Startups in the foodservice sector among young (prospective) entrepreneur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00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foodservice-related field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o understand their interest in entrepreneurship, major challenges, success factors, and the impact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 analysis revealed that while young people have a high interest in starting foodservice businesses, a lack of initial capital and operational experience are major obstacles.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menus and effective digital marketing strategies were recognized as important success factors,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awareness of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i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 differentiation of business items showed a optional parameter effect of strengthening the positive impact of individual factors, and the initial capital scale partially mitigated a moderating effect the impact of environmental facto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customized support policies and practical startup strategies to promote youth entrepreneurship.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Ⅴ. 결론 및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 리더-구성원 간 목표상호의존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몰입과 창의적행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의 관계: 접근·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과 경력단계의 조절효과
- 국내 제조업 환경 혁신을 통한 혁신 성과 촉진: 제품 및 공정 혁신 활동의 조절효과
-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국내 식품제조업 한계기업 분석
- 사업체 임금구조 변화와 임금피크제 운영 전략에 관한 실증 연구
- 대학생의 소셜벤처 창업의지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 사회적기업가정신 및 창업환경특성의 조절효과
- 스타트업 기업가 역량의 구성 요인 타당화 연구
- 「그리드플레이션」기업의 과도한 가격 인상이 시장에 존재하는가: 국내 음식료 기업을 중심으로
- 청년(예비)창업자의 외식분야 소자본 창업에 대한 인식과 성공요인
- 기업의 혁신역량과 인구통계학적 요소가 지역 소득성장에 미치는 영향
- 주도적 성격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직무 자율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 리더-구성원 간 목표상호의존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몰입과 창의적행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의 관계: 접근·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과 경력단계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