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Intention to Start Social Venture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Environment Factor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김충현(Choonghyun Kim)
- 간행물 정보
- 『경영연구』第40卷 第3號, 119~13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에서 핵심 비즈니스모델로 등장하고 있는 소셜벤처 창업을 활성화하고 청년 소셜벤처 기업가를 양성하기 위한 관점에서, 대학생들의 소셜벤처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Bird(1988)의 창업의지 연구를 기반으로 사회적기업가정신과 창업환경특성을 주요 변수로 설정하여 소셜벤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사회적기업가정신은 대학생들의 소셜벤처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절변수인 창업환경특성(인적네트워크, 대학창업인프라) 역시 정(+)의 조절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인적 네트워크 즉, 가족 구성원 및 지인의 창업경험이 있을 경우에 대학생의 창업의지가 증가함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대학내 창업교육 프로그램 지원과 더불어 창업친화적인 분위기의 조성이 대학생의 창업에 대한 심리적 동기가 증가함을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기존 창업의지에 주로 연구되었던 개인 속성과 더불어 창업환경 변수를 고려함으로써 연구 변수 분야를 확장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창업관련 연구가 일반 창업기업 위주인데 반하여 최근 활발한 움직을 보이고 있는 소셜벤처 분야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대학에서 일반 창업뿐만 아니라 소셜벤처와 같은 사회적경제 분야의 창업 활성화 및 성공을 위한 밑거름을 제공함으로써, 대학의 교육적 측면과 함께 창업생태계 구축에 기여할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students' intention to start social ventures from the perspective of promoting social venture startups, which are emerging as a key business model in the social economy, and nurturing young social venture entrepreneurs. Based on Bird's (1988) entrepreneurial intention research,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mpact on social venture startup intention by setting social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environment factors as main variable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 social entrepreneurship, positively (+) influenced students intention to start social ventures. This result confirms that social entrepreneurship is a crucial factor not only for the intention to start general social enterprises but also for social venture startups. Furthermore, the moderating variable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factors (such as personal networks and university startup infrastructure), also showed a positive (+) moderating effect. It can be inferred that university students' personal networks, such as family members or acquaintances with startup experience, increase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 Additionally, the provis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programs within universities, along with the creation of an entrepreneurship-friendly atmosphere, can be inferred to increase students' psychological motivation for entrepreneurship. The main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expands the scope of research variables by considering entrepreneurial environment factors along with individual attributes, which were mainly studied in existing entrepreneurial intention research. Furthermore, while most previous studies considered general entrepreneurship, this study attempted to research the area of social venture startups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Through this, it is believ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startup ecosystem and the educational aspect of universities by providing a foundation for the promotion and success of startups in the social economy field, such as social ventures, as well as general entrepreneurship.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및 가설 설정
Ⅲ. 연구 설계 및 변수 측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 리더-구성원 간 목표상호의존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몰입과 창의적행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의 관계: 접근·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과 경력단계의 조절효과
- 국내 제조업 환경 혁신을 통한 혁신 성과 촉진: 제품 및 공정 혁신 활동의 조절효과
-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국내 식품제조업 한계기업 분석
- 사업체 임금구조 변화와 임금피크제 운영 전략에 관한 실증 연구
- 대학생의 소셜벤처 창업의지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 사회적기업가정신 및 창업환경특성의 조절효과
- 스타트업 기업가 역량의 구성 요인 타당화 연구
- 「그리드플레이션」기업의 과도한 가격 인상이 시장에 존재하는가: 국내 음식료 기업을 중심으로
- 청년(예비)창업자의 외식분야 소자본 창업에 대한 인식과 성공요인
- 기업의 혁신역량과 인구통계학적 요소가 지역 소득성장에 미치는 영향
- 주도적 성격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직무 자율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 리더-구성원 간 목표상호의존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몰입과 창의적행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의 관계: 접근·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과 경력단계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