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Proactive Personality on Innovative Behavior: Centered o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Job Autonomy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톈보원(Bowen Tian) 안성익(Seongik Ahn)
- 간행물 정보
- 『경영연구』第40卷 第3號, 213~23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TPB)을 기반으로 하여, 주도적 성격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들 관계에서 의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그리고, 이 매개효과에 대한 직무 자율성의 조절된 매개효과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계획된 행동이론에서는 태도와 주관적 규범에 의해서 해당 행동을 하려는 동기가 갖추어졌다고 하더라도, 행동을 성취할 수 있는 가능성은 뒷받침되어야 해당 행동이 제대로 발휘된다고 본다. 이런 측면에서 주도적 성격이 혁신행동으로 발현되기 위해서는 혁신행동을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는 인지적 여건이 갖추어져야 하므로, 본 연구는 주도적 성격과 혁신행동 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을 매개할 것이라고 보았다. 나아가, 특성 활성화 이론에서는 상황이 뒷받침되어야 특성이 행동으로 발현된다고 보는데, 이를 바탕으로 하여, 자기효능 감의 매개효과가 직무 자율성에 의해서 조절된다고 보았다. 즉, 본 연구는 적극적 성격과 혁신행동 간 관계에 서 자기효능감과 직무 자율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의 실증연구를 위해서, 중국 기업에 근무하 는 354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SPSS와 AMOS와 같은 통계분석 패키지를 활용하였다. 특히, 조절된 매개효과는 SPSS에 Process Macro를 설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주 도적 성격은 혁신행동에 대해서 정(+)의 효과를 보였고, 이들 관계는 자기효능감에 의해서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도적 성격과 혁신행동 간 관계에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모두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마지막으로, 주도적 성격과 혁신행동 간 간접효과는 직무자율성에 의해서 정(+)의 방향으로 조절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같이, 본 연구는 성격과 같은 특성이 행동으로 발현되는 매커니즘과 조건을 동시에 규명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논의와 실무적 시사점도 함께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on innovative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se relationship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job autonomy on this mediating effect. 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even if one is motivated to perform a behavior based on attitude and subjective norms,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the behavior must be supported for them to attempt the behavior actually. In this respect, in order for proactive personality to be expressed through innovative behavior, the cognitive conditions for successfully achieving innovative behavior must be in place, so this study assumed that self-efficacy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innovative behavior. Furthermore, the trait activation theory argues that traits are expressed in behavior only when the situation supports it. Based on this, we expect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s controlled by job autonomy. In other words,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job autonom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innovative behavior. For this empirical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354 employees working at Chinese companies. We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with the packages such as SPSS and AMOS were used for the collected data. In particular, moderated mediation effect was analyzed by installing Process Macro in SP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roactive personalit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and this relationship was found to be mediated by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innovation behavior,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ere found to be positive. Lastly, the indirect effect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innovative behavior was found to be moderated in a positive direction by job autonomy. As shown i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imultaneously identified the mechanisms and conditions under which characteristics such as personality are expressed through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discuss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also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가설
Ⅳ. 연구방법
Ⅴ. 분석결과
Ⅵ. 논의 및 결론
Ⅶ.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 리더-구성원 간 목표상호의존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몰입과 창의적행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의 관계: 접근·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과 경력단계의 조절효과
- 국내 제조업 환경 혁신을 통한 혁신 성과 촉진: 제품 및 공정 혁신 활동의 조절효과
-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국내 식품제조업 한계기업 분석
- 사업체 임금구조 변화와 임금피크제 운영 전략에 관한 실증 연구
- 대학생의 소셜벤처 창업의지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 사회적기업가정신 및 창업환경특성의 조절효과
- 스타트업 기업가 역량의 구성 요인 타당화 연구
- 「그리드플레이션」기업의 과도한 가격 인상이 시장에 존재하는가: 국내 음식료 기업을 중심으로
- 청년(예비)창업자의 외식분야 소자본 창업에 대한 인식과 성공요인
- 기업의 혁신역량과 인구통계학적 요소가 지역 소득성장에 미치는 영향
- 주도적 성격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직무 자율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 리더-구성원 간 목표상호의존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몰입과 창의적행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의 관계: 접근·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과 경력단계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