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mbracing “Evil” and Discovering “God” in Haruki Murakami’s Works : From the Aum Shinrikyō Incident to After the Quake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 저자명
- Jing WANG
- 간행물 정보
- 『일본연구』第44輯, 355~38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n response to the Aum Shinrikyō incident, an extreme case of religious conflict in Japan, Haruki Murakami reflects on and critiques the problem of religion in 1980s Japanese society through both nonfiction and fiction, attempting to relativize religion and reconstruct faith within literature.
This paper focuses on the issue of confronting “evil (shadow)” as depicted in Underground and In the Place That Was Promised―Underground 2, elucidating Murakami’s attitude toward reinterpreting religious problems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Furthermore, it examines After the Quake, Murakami’s first fictional work to take religion as a central theme, analyzing a conception of “God” distinct from the context of Japan’s new religions. Ultimately, the paper clarifies how Murakami’s depictions of the deep psyche diverge from the monotheistic orientation of Jungian psychology and resonate instead with the polytheistic psychologies of James Hillman and Kawai Hayao, which emphasize the richness and unpredictability of the unconscious.
영문 초록
オウム真理教事件という日本における極端な宗教問題を受けて、村上春樹はそのノンフィクションおよびフィクション作品において、1980年代の日本社会における宗教の問題を省察·批判し、文学を通じて宗教の相対化と信仰の構築を試みている。
本論文では、『アンダーグラウンド』および『約束された場所で―underground 2』に描かれたオウム真理教の「悪(影)」への対処の問題に着目し、宗教の問題を心理学的視座から捉え直そうとする村上の姿勢を解明する。さらに、宗教を本格的に主題とした初のフィクション作品『神の子どもたちはみな踊る』を取り上げ、新新宗教的文脈とは異なる「神」の在り方を分析する。その上で、村上文学における深層意識の描写が、一神教的なユング心理学とは一線を画し、深層無意識の豊かさと予測不能性を重視するヒルマンや河合隼雄の多神教的心理学と共鳴する点を解明する。
목차
Ⅰ. はじめに
Ⅱ. オウム真理教に触発された<悪>の問題
Ⅲ. 「神の子どもたちはみな踊る」における「お方」の宗教
Ⅳ. 悪を抱える善也にとっての新たな<神>
Ⅴ. 統合を拒否する悪(影)の物語
Ⅵ. おわりに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화외교’를 통해 본 한일관계 60년 : 소프트파워 및 위기관리를 중심으로
- 한일관계 4.0시대의 정치사회학 : ‘전략적 게임’을 통한 시민 연계 만들기
- 이재명 정부 출범과 한일관계 대전환의 전망 : 수교 60년에 다시 묻는 ‘1965년 체제’ 극복 가능성
- 日韓関係60年における海(国境漁業)のレジーム : 摩擦の実態と協力の可能性
- 미나모토노 다메토모(源為朝)의 재생산과 캐릭터의 변용 : 『호겐모노가타리(保元物語)』와 애니메이션 <진제이하치로 다메토모(鎮西八朗為朝)>
- 이즈미 교카 「외과실(外科室)」 속 남녀 주인공의 자살에 관한 고찰 : 신주(心中) 전통과 사랑이라는 관념
- 군상극으로 재현된 역사 컨텐츠 영웅 서사 연구 : 미타니 고키 극본 NHK 대하드라마 <사나다마루(真田丸)>를 중심으로
- 조선 반도 최초의 관광잡지 『관광조선』 연구 : 소비되는 조선 반도의 문화 코드를 중심으로
- 잡지 『NIPPON』(1939)의 「조선」 특집 연구 : ‘보도사진’의 이상(理想)과 그 식민주의적 전용
- 공해병 문학의 혐오 대응에 대한 내재적 고찰 : 이시무레 미치코(石牟礼道子)의 미나마타병 소설을 중심으로
- ‘남양(南洋)’ 귀환 서사 속 전범재판 : 야노 겐조(矢野兼三) 『옥중기(獄中記)』(1962)를 중심으로
- ‘무라카미 하루키 『기사단장 죽이기』의 그림 표상과 예술론
- 村上春樹作品における<悪>の抱擁と<神>の発見 : オウム真理教事件から「神の子どもたちはみな踊る」へ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국내 일본 애니메이션 연구 동향 분석
- 『취분운략(聚分韻略)』 제본(諸本)에 걸친 효섭(效攝)의 자음형(字音形)에 대하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