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Intrinsic Study on the Response to Disgust in Pollution Disease Literature : Focusing on Ishimure Michiko's novel on Minamata disease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 저자명
- 이지형(Jee-hyung Lee)
- 간행물 정보
- 『일본연구』第44輯, 281~31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미나마타병 사건을 소재로 한 공해병 문학의 혐오 대응에 관한 내재적 연구이다. 분석 텍스트는 이시무레 미치코 소설 『고해정토』이다. 인류가 경험한 환경오염으로서는 최초이자 최대급이라 할 수 있는 미나마타병은 1956년에 병의 존재가 공식 확인되었고, 1968년에 일본 정부로부터 공해병임이 인정되었다. 하지만 괴질로 불리던 질병의 실체 규명 과정은 지난했으며, 피해 보상 및 정부의 공식 환자 인정 요구는 소송으로 확대되어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그 과정에서 미나마타병 환자와 그 가족은 지역 안팎의 심각한 차별과 혐오의 대상이 되었다. 『고해정토』는 산업재해에 의해 촉발된 문학의 사회성과 정치성을 지역성에 토대한 당사자 목소리를 통해 체현한 기록문학이자 실천문학이다. 본 논문은 『고해정토』 1, 2부 분석을 통해 미나마타병 사건으로 촉발된 차별 및 혐오 문제와 그 대응 방안에 대한 내재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우선 차별/혐오의 배경과 맥락 등을 살펴 그 동인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응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질병, 지역, 장애, 젠더 등을 둘러싼 갖은 혐오가 분출하는 지금, 혐오의 실천적 대응 방안에 대해 사유하기 위함이다.
차별과 혐오는 사건의 전 과정에서 미나마타병 환자와 가족은 물론 주민들 전체를 향한다. 낙후된 소외 지역이라는 공간성, 정체불명의 괴질로 인한 거리낌과 역겨움의 정동, 환자의 기형 및 장애 신체 등은 혐오 양상을 가속화한다. 더욱 문제적인 것은, 지역경제 기반인 ‘칫소’의 붕괴에 대한 우려와 환자 보상금 지급에 대한 질시라는 두 가지 양상이 맞물려, 혐오가 지역 내부로부터 한층 노골화된다는 점이다. 또한 이러한 혐오의 지역적 동인, 심리적 동인, 신체적 동인, 물질적 동인 못지않게 현저한 혐오 기제가 자기혐오다.
그렇다면, 미나마타병 당사자들은 혐오에 어떻게 대항하며, 혐오 대응의 동력은 무엇인가? ‘공감과 연대’는 혐오 대응의 방법인 동시에 결과이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공감과 연대를 가능케 하는 토대가 무엇인가이다. 그 첫째는 존재를 위협하는 억압과 혐오에 대한 내발적인 대응력으로서의 ‘분노’다. 둘째는 피해자의 침묵을 존중하는 듣기의 윤리에 기반한 ‘경청하기’이다. 환자와 가족, 시민운동가, 피차별부락민, 학생운동가 등이 함께 오사카 칫소 주주총회에 항의 방문하는 소설 2부의 마지막 장은 차이를 넘어선 공감과 연대의 실천장이다. 타자에 동일화하는 것에 의한 공감이 아니라 당사자와 비당사자 간의 메워질 수 없는 간극을 인정하며 ‘다른 공감의 언어를 찾는 것’. 그것으로부터 비로소 진정한 공감과 혐오 극복의 연대가 시작될 수 있음을 『『고해정토』는 말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n intrinsic study on the response to disgust of pollution disease literature based on the Minamata disease case. The text analyzed is Ishimure Michiko's novel, “Paradise in the Sea of Sorrow”. Minamata disease, which can be said to be the first and largest environmental pollution experienced by mankind, was officially confirmed to exist in 1956, and was recognized as a pollution disease by the Japanese government in 1968. However,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disease that was called a plague was difficult, and demands for compensation for damages and official recognition as a patient have expanded into lawsuits that are still ongoing. In the process, Minamata diseas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became the targets of serious discrimination and Disgust both within and outside the region. “Paradise in the Sea of Sorrow” is a documentary and practical literature that embodies the sociality and politics of literature triggered by industrial accidents through the voices of the parties based on locality. This paper attempted an internal approach to the issues of discrimination and hatred triggered by the Minamata disease incident and countermeasures through an analysis of Parts 1 and 2 of “Paradise in the Sea of Sorrow”. First, I examined the background and context of discrimination/disgust, examined its motives, and sought countermeasures based on this. This work is intended to think about practical ways to respond to disgust at a time when disgust surrounding disease, region, disability, gender, etc. is erupting.
Discrimination and disgust are directed at Minamata diseas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s well as the entire local community, throughout the entire incident. The spatiality of an underdeveloped and marginalized area, the affect of reluctance and disgust due to unidentified disease, and the deformity and disability of the patient accelerate the disgust pattern. What is more problematic is that the hatred is becoming more blatant within the region, intertwined with two aspects: concerns about the collapse of the local economic foundation, ‘Chitso’, and jealousy about the payment of patient compensation. Also, Self-disgust is another prominent mechanism of disgust, no less than the local, psychological, physical, and material causes of disgust.
How do Minamata disease victims fight against disgust, and what drives the response to disgust? ‘Empathy and solidarity’ are both methods and results of responding to disgust, but more importantly, what is the foundation that makes empathy and solidarity possible? The first is ‘anger’ as an internal response to oppression and disgust that threaten existence. The second is ‘listening’ based on the ethics of listening that respects the silence of the victim. The last chapter of Part 2 of the novel, in which patients, their families, civic activists, discriminated villagers, and student activists come together to protest at the ‘Chitso’ Osaka shareholders' meeting, is a place to practice empathy and solidarity that transcends differences. Recognizing the unbridgeable gap between the parties and non-parties, not by identifying with the other, and ‘finding another language of empathy’. “Paradise in the Sea of Sorrow” says that only from this can true empathy and solidarity to overcome disgust begin.
목차
Ⅰ. 들어가며 - ‘미나마타병 사건’ 추이와 소설 『고해정토(苦海淨土)』
Ⅱ. 미나마타병 차별/혐오 양상과 혐오의 성립
Ⅲ. 혐오의 동인과 자기혐오
Ⅳ. 미나마타병 문학을 통한 혐오 대응의 가능성-분노와 경청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화외교’를 통해 본 한일관계 60년 : 소프트파워 및 위기관리를 중심으로
- 한일관계 4.0시대의 정치사회학 : ‘전략적 게임’을 통한 시민 연계 만들기
- 이재명 정부 출범과 한일관계 대전환의 전망 : 수교 60년에 다시 묻는 ‘1965년 체제’ 극복 가능성
- 日韓関係60年における海(国境漁業)のレジーム : 摩擦の実態と協力の可能性
- 미나모토노 다메토모(源為朝)의 재생산과 캐릭터의 변용 : 『호겐모노가타리(保元物語)』와 애니메이션 <진제이하치로 다메토모(鎮西八朗為朝)>
- 이즈미 교카 「외과실(外科室)」 속 남녀 주인공의 자살에 관한 고찰 : 신주(心中) 전통과 사랑이라는 관념
- 군상극으로 재현된 역사 컨텐츠 영웅 서사 연구 : 미타니 고키 극본 NHK 대하드라마 <사나다마루(真田丸)>를 중심으로
- 조선 반도 최초의 관광잡지 『관광조선』 연구 : 소비되는 조선 반도의 문화 코드를 중심으로
- 잡지 『NIPPON』(1939)의 「조선」 특집 연구 : ‘보도사진’의 이상(理想)과 그 식민주의적 전용
- 공해병 문학의 혐오 대응에 대한 내재적 고찰 : 이시무레 미치코(石牟礼道子)의 미나마타병 소설을 중심으로
- ‘남양(南洋)’ 귀환 서사 속 전범재판 : 야노 겐조(矢野兼三) 『옥중기(獄中記)』(1962)를 중심으로
- ‘무라카미 하루키 『기사단장 죽이기』의 그림 표상과 예술론
- 村上春樹作品における<悪>の抱擁と<神>の発見 : オウム真理教事件から「神の子どもたちはみな踊る」へ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국내 일본 애니메이션 연구 동향 분석
- 『취분운략(聚分韻略)』 제본(諸本)에 걸친 효섭(效攝)의 자음형(字音形)에 대하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