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외교’를 통해 본 한일관계 60년 : 소프트파워 및 위기관리를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The Korea-Japan Relations System since 1965 through K-Culture Diplomacy : Focusing on Soft Power and Risk Management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저자명
김영근(Young-geun Kim)
간행물 정보
『일본연구』第44輯, 9~4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소프트파워 및 위기관리를 중심으로 ‘문화외교’의 변용을 분석하고, 한일관계 60년사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특히, 한류(K-컬쳐)문화는 일본 사회에서 단순한 소비문화를 넘어 ‘공공외교’의 자산으로 기능해 왔으며, 반복되는 정치·경제적 갈등 속에서도 시민 간 상호이해 증진과 ‘리질리언스’ 유지에 핵심 역할을 해왔음을 검증하였다.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양국의 역사적 화해(1965·국교정상화, 1998·공동선언), 대중교류 확대(월드컵 공동개최, 한류 붐), K-POP 등 ‘소프트파워’의 글로벌 확산은 한일관계의 긍정적 ‘안전장치’로 작용한다. 둘째, 반면에 영토문제, 무역분쟁 등 정치·경제·사회·문화·역사(인식) 갈등은 문화외교 효과를 제한하는 주요 변수로 작용한다. 특히 BTS·아파트· ‘케이팝 데몬 헌터스’ 등 한국 대중문화·K-콘텐츠는 경제안보 이슈(2019년 수출규제)로 인한 위험(리스크)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 한일관계 및 ‘문화외교’의 상호작용 개관, Ⅱ장에서 한류의 진화와 ‘교류 네트워킹’, 경제안보 이슈 영향 분석, Ⅲ장에서 경로의존성과 위기관리, 문화외교의 완충 역할을 고찰하였다. 결론(Ⅳ장)으로 지속가능한 한일협력을 위한 소프트파워 기반 문화외교 전략의 한계와 과제를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K-Culture diplomacy transformation through soft power and risk management, examining their impact on 60 years of Korea-Japan relations. It confirms K-Culture has evolved beyond consumer culture to become a public diplomacy asset fostering mutual understanding amid political and economic disputes. First, historic reconciliations (1965 Normalization, 1998 Declaration), expanded exchanges (World Cup Co-hosting, K-Wave boom), and global soft power including K-POP serve as positive stabilizers. Second,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nd historical conflicts―territorial and trade disputes―remain barriers limiting cultural diplomacy effectiveness. K-Culture contents (BTS, Rose's APT., K-Pop Demon Hunters) have buffered spillover from economic tensions, including 2019 trade friction. Structure: Ch.I reviews Korea-Japan relations and cultural diplomacy. Ch.II examines K-Culture development and economic-security influences. Ch.III explores path dependency, crisis management, and buffering roles. Ch.IV discusses limitations of soft power-based K-Culture diplomacy for sustainable cooperation.

목차

Ⅰ. 서론: 한일관계의 변용과 ‘문화외교’
Ⅱ. 한류의 탄생 및 진화 vs. 경제안보 이슈
Ⅲ. 한일 국교 정상화 60년의 경로의존성: 위기관리를 중심으로
Ⅳ. 결론: 갈등을 넘어 화해를 위한 단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근(Young-geun Kim). (2025).‘문화외교’를 통해 본 한일관계 60년 : 소프트파워 및 위기관리를 중심으로. 일본연구, (), 9-41

MLA

김영근(Young-geun Kim). "‘문화외교’를 통해 본 한일관계 60년 : 소프트파워 및 위기관리를 중심으로." 일본연구, (2025): 9-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