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aintings and art theory in Killing Commendatore by Haruki Murakami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 저자명
- 이선윤(Sun-yoon Lee)
- 간행물 정보
- 『일본연구』第44輯, 335~35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 『기사단장 죽이기』에서 다루는 ‘그림’의 이야기는, 표상과 이를 통해 그려내고자 하는 어떤 개념 혹은 사실의 세계이다. 텍스트 내에서 그것은 ‘이데아’라는 단어로 표현된다. 주인공인 초상화가 ‘나’는 무엇을 그릴 것인가에 대한 고민, 즉 창작의 시발점을 인식 대상의 발견에서 찾는다.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표현하는가에 대한 방법론으로 ‘메타포’를 도입한다. 이러한 과정은 ‘이데아’를 자칭하는 ‘기사단장’과 ‘메타포’를 자칭하는 ‘긴 얼굴’을 등장시키며 하나의 초자연적 경험의 이야기로 구상화된다. 텍스트 내에서 논해지는 메타포란 ‘은유’를 넘어서, ‘재현=미메시스’라는 예술의 근원적 양식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주제는 예술 창작 전반의 문제와도 통한다. 또한 『기사단장 죽이기』에서는 ‘기억’이라는 요소가 예술 창작과 관련해 강조되고 있다. 기억도, 예술도, 존재의 한계를 넘어서게 하는 장치이다. 인간 주체에 의해 그려지는 그림 표상에 관한 이 이야기는, 곧 소설의 세계, 즉 문학적 원리에 관한 메타포이기도 하며 하나의 예술론으로 읽을 수 있다.
영문 초록
In Haruki Murakami's novel Killing Commendatore, the theme of “paintings” deals with the world of representations and concepts or truths that such representations aim to depict. Within the text, this is expressed through the word “idea.” The protagonist, a painter referred to as “I,” struggles with the question of what to paint. He seeks the starting point of creation in the discovery of the subject of perception. As for how to express it, Killing Commendatore introduces the methodology of “metaphor”. This process is embodied through supernatural narrative involving the characters, “the Commendatore”, who calls himself “Idea”, and “the man with the long face,” who calls himself “Metaphor”.
The metaphor discussed in the text goes beyond mere figurative language; it can also be understood as mimesis−the fundamental mode of art as representation in classical art theory. Therefore, this theme resonates with the broader concerns of artistic creation. In Killing Commendatore, another element emphasized in relation to art is “memory.” This story about the representation is, in fact, a metaphor for the world of literature, and also can be read as a theory of art.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예술 언어로서의 문학과 미술 : Ut Pictura Poesis라는 미학적 토대와 예술 표상
Ⅲ. 무엇을 그릴 것인가?:그려지는 대상으로서의 개념, 이데아
Ⅳ. 어떻게 그릴 것인가?:예술 표현의 방법론과 메타포
Ⅴ. 재현=미메시스, 그리고 기억
Ⅵ. 나오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화외교’를 통해 본 한일관계 60년 : 소프트파워 및 위기관리를 중심으로
- 한일관계 4.0시대의 정치사회학 : ‘전략적 게임’을 통한 시민 연계 만들기
- 이재명 정부 출범과 한일관계 대전환의 전망 : 수교 60년에 다시 묻는 ‘1965년 체제’ 극복 가능성
- 日韓関係60年における海(国境漁業)のレジーム : 摩擦の実態と協力の可能性
- 미나모토노 다메토모(源為朝)의 재생산과 캐릭터의 변용 : 『호겐모노가타리(保元物語)』와 애니메이션 <진제이하치로 다메토모(鎮西八朗為朝)>
- 이즈미 교카 「외과실(外科室)」 속 남녀 주인공의 자살에 관한 고찰 : 신주(心中) 전통과 사랑이라는 관념
- 군상극으로 재현된 역사 컨텐츠 영웅 서사 연구 : 미타니 고키 극본 NHK 대하드라마 <사나다마루(真田丸)>를 중심으로
- 조선 반도 최초의 관광잡지 『관광조선』 연구 : 소비되는 조선 반도의 문화 코드를 중심으로
- 잡지 『NIPPON』(1939)의 「조선」 특집 연구 : ‘보도사진’의 이상(理想)과 그 식민주의적 전용
- 공해병 문학의 혐오 대응에 대한 내재적 고찰 : 이시무레 미치코(石牟礼道子)의 미나마타병 소설을 중심으로
- ‘남양(南洋)’ 귀환 서사 속 전범재판 : 야노 겐조(矢野兼三) 『옥중기(獄中記)』(1962)를 중심으로
- ‘무라카미 하루키 『기사단장 죽이기』의 그림 표상과 예술론
- 村上春樹作品における<悪>の抱擁と<神>の発見 : オウム真理教事件から「神の子どもたちはみな踊る」へ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국내 일본 애니메이션 연구 동향 분석
- 『취분운략(聚分韻略)』 제본(諸本)에 걸친 효섭(效攝)의 자음형(字音形)에 대하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