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재명 정부 출범과 한일관계 대전환의 전망 : 수교 60년에 다시 묻는 ‘1965년 체제’ 극복 가능성

이용수  0

영문명
Diplomatic Challenges and Strategies toward Japan under the New Lee Jae Myung Administration : Envisioning a Post-1965 Framework on the 60th Anniversary of Normalization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저자명
남기정(Ki-jeong Nam)
간행물 정보
『일본연구』第44輯, 79~113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25년 한일 수교 60주년을 맞아 새롭게 출범한 이재명 정부는, 한일기본조약 제2조와 제3조의 한계를 극복하고, 역사 화해와 안보협력을 재정립하는 ‘포스트 1965년 체제’로의 전환을 외교적 과제로 안고 있다. 본 논문은 1965년 체제의 역사적 구성과 작동 원리를 분석하고, ‘식민-패권-냉전체제’의 트릴렘마와 ‘정의-화해’ 및 ‘안보-평화’의 이중 딜레마 구조 속에서 이재명 정부가 취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한다. 특히 대일 외교의 상대가 이시바 내각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간 나오토 담화와 이시바시 탄잔의 사상을 소통의 창구로 삼아 적극 외교를 펼칠 필요를 강조한다. 강제 동원과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구체적 해법으로 ‘문희상 법안 플러스’와 ‘2015년 구두 합의의 재전유’라는 현실적 접근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역사화해와 안보협력을 아우르는 지속 가능한 한일관계의 구축 가능성을 모색한다.

영문 초록

To mark the 60th anniversary of Korea-Japan diplomatic normalization in 2025, the newly inaugurated Lee Jae Myung administration faces the diplomatic challenge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Articles 2 and 3 of the 1965 Basic Treaty and redefining historical reconciliation and security cooperation under a “post-1965 framework.” This paper analyzes the historical structure and operational logic of the 1965 framework and presents strategic options for the Lee administration within the trilemma of colonialism, hegemony, and division, as well as the dual dilemmas of justice versus reconciliation and security versus peace. In particular, it emphasizes the need for proactive diplomacy with the Ishiba Cabinet by utilizing the Kan Naoto Statement and the ideas of Ishibashi Tanzan as channels for dialogue. As concrete solutions to the issues of forced labor and the Japanese military’s comfort women, the paper proposes realistic approaches such as the “Moon Hee-sang Bill Plus” and the “re-appropriation of the 2015 verbal agreement.” Through these measures, the study seeks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sustainable Korea-Japan relationship that encompasses both historical reconciliation and security cooperation.

목차

Ⅰ. 서론: 1965년 체제 60주년의 의미
Ⅱ. 1965년 체제의 구조와 원리
Ⅲ. 1965년 체제의 집요저음(Basso Ostinato)
Ⅳ. 포스트 1965년 체제의 동반자: 이시바 내각의 의미
Ⅴ. 포스트 1965년 체제로의 입구: 과거사 현안 해법
Ⅵ. 요약과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기정(Ki-jeong Nam). (2025).이재명 정부 출범과 한일관계 대전환의 전망 : 수교 60년에 다시 묻는 ‘1965년 체제’ 극복 가능성. 일본연구, (), 79-113

MLA

남기정(Ki-jeong Nam). "이재명 정부 출범과 한일관계 대전환의 전망 : 수교 60년에 다시 묻는 ‘1965년 체제’ 극복 가능성." 일본연구, (2025): 79-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