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ceived Exercise Value,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Beachcombing as a Marine Leisure Activity
- 발행기관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저자명
- 조현진(Hyun-Jin Cho) 이성국(Sung-Kuk Lee) 강현욱(Hyun-Wook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제16권 제3호, 135~14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해양 여가활동인 비치코밍이 운동가치인식 및 자아효능감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어떤 영향을 주는지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강원도, 인천광역시, 충청남도, 경상남도 지역 비치코밍 참여자 300명 중280부의 자료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SPSS Window Version 28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연구의 가설 검정을 위해 AMOS 28 구조방정식모델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해양 여가활동인 비치코밍이 운동가치인식에 유의한 영향을주었다. 둘째, 해양 여가활동인 비치코밍 참여자들의 운동가치인식은 자아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셋째, 해양여가활동인 비치코밍 참여자들의 자아효능감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넷째, 해양 여가활동인 비치코밍참여자들의 운동가치인식은 조직몰입 중 감정적, 규범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비치코밍 그룹참여자의 운동가치인식이 자아효능감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beachcombing, a marine leisure ac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value awareness,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MOS 28.0. Finall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to obtain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beachcombing, a marine leisure activ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ption of exercise value. Second, the perception of exercise value of beachcombing participants, a marine leisure activ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Third, the self-efficacy of beachcombing participants, a marine leisure activ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the perception of exercise value of beachcombing participants, a marine leisure activ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and normative commitment among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summar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wareness of exercise value in beachcombing group particip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강도인터벌트레이닝(HIIT) 참여 여성들의 운동지속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8주간의 근력 운동이 근감소성 비만 여성 노인의 신체 구성 성분, 근력 및 치매 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
- 노르딕워킹 참여 액티브 시니어의 플로리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델파이(Delphi)와 계층구조분석(AHP)을 적용한 독립야구단의 발전방안
- 태권도 격파지도자의 전문성에 관한 질적연구
- 축구선수의 셀프리더십이 선수생할만족과 운동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 e스포츠 연구 지형도: 20년(2004-2024) 동향과 변화 분석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6권 제3호 목차
- 8주간의 필라테스 순환운동이 중년 비만 여성의 근기능과 심폐체력, 체간상부 정렬에 미치는 영향
- 국내 프로스포츠 구단의 AI 도입 과정에서 나타나는 조직 혁신과 저항에 관한 근거이론적 연구
- 여가 활동 참여에서의 디지털 서비스 이용 경험에 대한 인식: 기대일치, 유용성, 만족도를 중심으로
- 강도에 따른 8주 유산소 운동이 주의혈압 단계 중년 남성의 혈압 및 대사 지표에 미치는 영향
- 아웃도어 브랜드의 CSR,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 고객 충성도 간의 관계
- 해양 여가활동 비치코밍의 운동가치인식과 자아효능감 및 조직몰입과의 관계
- 스포츠 선수 에반젤리즘, 외로움, 세대가 골프용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MZ세대를 중심으로
- 중국 프로농구리그의 체험마케팅 요소, 서비스품질 및 관중행동의 구조관계 분석
- 발달장애인의 스포츠기본권 및 우선적 가치에 관한 주관성 유형화
- 고령인구 대상 저산소 운동이 대사성 질환 지표에 미치는 효과
- 피트니스 센터 이용자의 접근목표와 운동만족 및 재등록의도의 구조적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체육분야 BEST
- 재활운동에 따른 회전근개복원술을 받은 노인환자의 어깨관절가동범위와 어깨통증 및 심리상태의 변화
- 중국 대학생의 심리건강에 대한 인식과 신체활동 결정요인: 건강신념 모형
- 국내 수중심리운동의 연구 동향 및 미래 방향성 탐색
예술체육 > 체육분야 NEW
- 고강도인터벌트레이닝(HIIT) 참여 여성들의 운동지속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8주간의 근력 운동이 근감소성 비만 여성 노인의 신체 구성 성분, 근력 및 치매 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
- 노르딕워킹 참여 액티브 시니어의 플로리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