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Latent Profiles of Multidimensional Capital among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Exploring Influencing Factors and Differences in Depression
- 발행기관
- 사회복지정책실천회
- 저자명
- 박소영(So-young Park) 이순영(Soonyoung Lee) 김아란(Aran Kim)
- 간행물 정보
- 『사회복지정책과 실천』11권 2호, 285~323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장년 1인 가구의 다차원적 자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잠재프로파일별 영향요인과 각 집단에 따른 우울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제19차(2024년)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40세~64세까지의 중장년 1인 가구 488명으로 선정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장년 1인 가구의 다차원적 자본의 잠재프로파일은 3개로 도출되었고, ‘저경제, 중사회문화 자본집단(30.2%)’, ‘중수준, 중사회문화 자본집단(35.3%)’, ‘고경제, 중사회문화 자본집단(34.5%)’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중장년 1인 가구의 다차원적 자본 잠재프로파일별 유의한 영향요인은 연령과 성별로 나타났다. 셋째, ‘저경제, 중사회문화 자본집단’의 우울이 ‘중수준, 중사회문화 자본집단’과 ‘고경제, 중사회문화 자본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장년 1인 가구의 우울 감소와 다차원적 자본 강화를 위한 사회복지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latent profiles of multidimensional capital among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o analyze predictors and differences in depression. Using data from the 2024 Korean Welfare Panel Study(19th wave),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on 488 individuals aged 40 64 living alone. Three profiles were identified: “Low Economic-Moderate Social and Cultural Capital”(30.2%), “Moderate Economic-Moderate Social and Cultural Capital”(35.3%), and “High Economic-Moderate Social and Cultural Capital”(34.5%). Age and gender significantly predicted profile membership, and the “Low Economic Moderate Social and Cultural Capital” group reported higher depression levels. These findings suggest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addressing depression and enhancing multidimensional capital among this population.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11권 2호 목차
- 장기요양요원의 소득 결정요인 분석에 대한 연구: 소득분위별 차이를 중심으로
- Empowering Rural Alabama: The Critical Role and Challenges of Community Health Providers in Healthcare Deliver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토픽모델링(LDA) 분석을 이용한 노인일자리사업 연구동향 분석 : 노인일자리 종합계획 제1기(2013-2017), 제2기(2018-2022) 중심으로
- 직업계고졸청년의 노동과정에서 나타나는 차별: 마이크로어그레션의 개념을 중심으로
- 입원 중인 정신장애 소수자에 대한 질적 연구
- 지역사회통합돌봄의 지역사회 적용 모델 비교 연구 : 서울과 부산 사례를 통해
-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공감능력과 문화적 역량의 관계: 다문화 수용성 매개효과 검증
- 중장년 1인 가구의 다차원적 자본 잠재프로파일 연구: 영향요인 탐색 및 우울 차이 검증
- 정신요양시설 종사자의 연관낙인이 입소생활인의 자기낙인과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 한국사회복지학
- 보건사회연구
- 인문사회21
- 한국가족복지학
- 한국사회복지학
- 비판사회정책
- 한국과 국제사회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노인복지연구
- 장애인복지연구
-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 비판사회정책
- 한국가족복지학
- 조사연구
-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 보건사회연구
- 노인복지연구
- 한국가족복지학
-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 청소년문화포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사회과학연구
- 가족과 문화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사회복지연구
- 인문사회21
- 소비문화연구
-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 Journal of Racial and Ethnic Health Disparities
- Ageing and Society
-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 Sociological spectrum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11권 2호 목차
- 장기요양요원의 소득 결정요인 분석에 대한 연구: 소득분위별 차이를 중심으로
- Empowering Rural Alabama: The Critical Role and Challenges of Community Health Providers in Healthcare Deliver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