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e in Social Work Majors in College: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Acceptance
- 발행기관
- 사회복지정책실천회
- 저자명
- 이은정(Eunjung Lee) 김안나(Anna Kim)
- 간행물 정보
- 『사회복지정책과 실천』11권 2호, 245~283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의 수준을 살펴보고 문화적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공감능력, 다문화 수용성의 영향력을 검증하고 이들 요인의 인과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 6개 4년제 대학교 1, 2, 3, 4학년 237명의 데이터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능력은 다문화 수용성과 문화적 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수용성은 문화적 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감능력과 문화적 역량의 관계에서 다문화 수용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마련 방안에 대하여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을 기반으로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vel of cultural compete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ork, to verify the influence of empathy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on cultural competence, and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The ultimate goal i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enhance the cultural competence of social work majors. For this purpose, data from 237 freshman, sophomore, junior, and senior students enrolled in six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the Daegu and Gyeongbuk region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mpath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cultural competence. Second, multicultural acceptance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ultural competence. Third, multicultural acceptance was confirm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implications for designing educational programs aimed at strengthening the cultural competence of social work students. Additionally,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posed in light of the study’s limit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11권 2호 목차
- 장기요양요원의 소득 결정요인 분석에 대한 연구: 소득분위별 차이를 중심으로
- Empowering Rural Alabama: The Critical Role and Challenges of Community Health Providers in Healthcare Deliver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토픽모델링(LDA) 분석을 이용한 노인일자리사업 연구동향 분석 : 노인일자리 종합계획 제1기(2013-2017), 제2기(2018-2022) 중심으로
- 직업계고졸청년의 노동과정에서 나타나는 차별: 마이크로어그레션의 개념을 중심으로
- 입원 중인 정신장애 소수자에 대한 질적 연구
- 지역사회통합돌봄의 지역사회 적용 모델 비교 연구 : 서울과 부산 사례를 통해
-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공감능력과 문화적 역량의 관계: 다문화 수용성 매개효과 검증
- 중장년 1인 가구의 다차원적 자본 잠재프로파일 연구: 영향요인 탐색 및 우울 차이 검증
- 정신요양시설 종사자의 연관낙인이 입소생활인의 자기낙인과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11권 2호 목차
- 장기요양요원의 소득 결정요인 분석에 대한 연구: 소득분위별 차이를 중심으로
- Empowering Rural Alabama: The Critical Role and Challenges of Community Health Providers in Healthcare Deliver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