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come Determinants of Long-Term Care Workers: A Quantile-Based Approach
- 발행기관
- 사회복지정책실천회
- 저자명
- 김찬미(Chan Mi Kim)
- 간행물 정보
- 『사회복지정책과 실천』11권 2호, 5~47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7,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기요양요원의 소득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소득분위별로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장기요양요원 처우 개선을 위한 실증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분석에는 보건복지부가 조사하고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시스템에서 제공하는 2022년 장기요양실태조사 자료를활용하였으며, 연구방법론으로 분위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요양보호사는 모든 소득 분위에서 타 직종 대비 낮은 소득 수준을 보였으며, 방문요양·방문목욕·방문간호와 같은 재가급여 유형은 노인요양시설에 비해 특히 저소득 분위에서 불리한 소득 구조를 나타냈다. 또한 근무 지역별로는 농촌 지역이 대도시 및 중소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소득 수준을 보이는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기요양요원 노동시장이 직종, 급여유형, 지역에 따라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일부 집단에불리한 소득 구조가 집중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장기요양요원 처우 개선 정책의 구체화 및 차등적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향후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income determinants across different income quantiles of long-term care workers. With utilizing the 2022 Long-Term Care Survey data provided by the micro data information system(MDIS) of Statistics Korea, this study applied quantile regression models to identify income determinants by income quartile. The analysis results confirmed differences in most variables controlled for in the research model across income quantiles. The findings, derived while controlling for individuals' human capital, showed that the income advantage of care workers among long-term care personnel decreased as income quantiles increased. Regarding long-term care benefit types, home-visit care, home-visit bathing, and home-visit nursing were found to be disadvantageous in terms of income compared to care-giver, with this phenomenon being more pronounced in lower income quantiles. Additionally, work place in agricultural region were found to be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income than urban area. The main primary contribution of this study are twofold: First, it confirms that the income of long-term care workers is fragmented, highlighting the need for policy interventions to address these disparities. Second, by examining the income distribution among long-term care workers, the study evaluates the timeliness and alignment of current government policies and draws out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장기요양요원에 대한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론 : 분위회귀모형
Ⅳ. 자료 및 변인설명
Ⅴ. 분석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11권 2호 목차
- 장기요양요원의 소득 결정요인 분석에 대한 연구: 소득분위별 차이를 중심으로
- Empowering Rural Alabama: The Critical Role and Challenges of Community Health Providers in Healthcare Deliver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토픽모델링(LDA) 분석을 이용한 노인일자리사업 연구동향 분석 : 노인일자리 종합계획 제1기(2013-2017), 제2기(2018-2022) 중심으로
- 직업계고졸청년의 노동과정에서 나타나는 차별: 마이크로어그레션의 개념을 중심으로
- 입원 중인 정신장애 소수자에 대한 질적 연구
- 지역사회통합돌봄의 지역사회 적용 모델 비교 연구 : 서울과 부산 사례를 통해
-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공감능력과 문화적 역량의 관계: 다문화 수용성 매개효과 검증
- 중장년 1인 가구의 다차원적 자본 잠재프로파일 연구: 영향요인 탐색 및 우울 차이 검증
- 정신요양시설 종사자의 연관낙인이 입소생활인의 자기낙인과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11권 2호 목차
- 장기요양요원의 소득 결정요인 분석에 대한 연구: 소득분위별 차이를 중심으로
- Empowering Rural Alabama: The Critical Role and Challenges of Community Health Providers in Healthcare Deliver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