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Juxtaposing Literary and Historical Discourse : Focusing on the writing strategies of the webtoon “Whale Star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수곤(Su-gon Yi) 정형근(Hyung-keun Jeong)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3호, 451~48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웹툰의 서사 전개 방식, 곧 웹툰의 글쓰기 전략을 나윤희 작가의 『고래별』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특히 매체 간의 상호 작용 또는 매체 간의 재매개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디지털 환경에서 웹툰과 같은 대표적 디지털 매체의 서사적 글쓰기 전략을 살려봄으로써 웹툰이 구사하고 있는 글쓰기 전략의 일면에 대해 고찰하고 그 의미를 평가해 보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다.
『고래별』은 글쓰기의 측면에서 문학적 글쓰기와 역사적 글쓰기가 상호 교차하는 글쓰기의 형태를 보인다. ‘있음 직한 세계’를 진술하는 문학과 ‘있었던 세계’에 대해 진술하는 역사적 글쓰기가 상호 교차하면서 텍스트를 생성하고 있다. 또 『고래별』에서는 텍스트에 사실성을 부여하는 글쓰기 전략이 존재하는데, 역사적 사실 위에 문학적 사물들을 배치하는 글쓰기 전략이 바로 그것이다. 마치 증강 현실의 기법처럼 ‘있었던 현실(역사)’에 있음 직한 현실이 부가되면서 사건과 사물이 생동감 있게 사실적으로 느껴지게 된다.
『고래별』에서 문학적 글쓰기의 역사적 글쓰기는 서로 교차하기보다는 마치 물고기의 비늘이 경계만 살짝 공유한 형태로 포개어 있는 비늘 구조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역사와 문학은 서로 겹쳐 있기보다는 서로 비껴 있는 상태에서 물고기의 비늘처럼 기대어 있으면서 서로를 물들이고 있다. 의미론적 측면에서도 무장 독립 투쟁이라는 중심 서사는 인물 간의 개인적 사랑과 투쟁에 가려지게 된다. 특히 주변 인물들의 발화는 독립 무장 투쟁이라는 거대 서사를 초라하게 만든다. 중심 서사를 비껴가며 주변 서사가 전경화되는 것이 『고래별』 글쓰기의 중요한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고래별』에서는 문학적 층위와 역사적 층위가 동시적으로 양립하면서 독립투쟁과 연관된 사건, 즉 중심 서사를 비껴가는 인물 간의 사랑과 갈등이 전경화한다. 『고래별』에서는 곧 중심 서사를 비껴가면서 주변 서사를 전경화하는 서사 전략이 구사되었다. 무장 독립 투쟁의 역사와 인어 공주 이야기가 비끼어 서 있으면서 서로를 물들이고 있는데, 서사적인 면에서 주변부의 전경화 그리고 중심부의 비껴가기는 역사 속에서 발언권을 얻지 못했던 조윤화나 수아와 같은 조선 여성의 목소리를 부각한다. 이러한 주변부의 부각에 따른 중심부의 비껴가기가 웹툰 『고래별』의 서사적 글쓰기의 특징이다. 비록 『고래별』의 글쓰기 전략이 웹툰 일반에서 통용되는 글쓰기 전략은 아닐지라도 역사와 문학을 상호 참조하면서 서로에게 필요한 재미와 사실성을 부여하는 효과적인 글쓰기의 한 전략이다. 또 이 같은 글쓰기 전략은 장르 간 재매개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디지털 시대에 여전히 효과적인 사고와 표현의 전략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narrative development of webtoons, or the writing strategies of webtoons, focusing on Na Yoon-hee's “Whale Star”. Especially in the digital environment where interaction between media or re-mediation between media is actively taking place,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narrative writing strategy of a representative digital medium such as webtoon and evaluate its implications.
In terms of writing, “Whale Star” shows a form of writing in which literary writing and historical writing intersect with each other. Literature, which states the world as it is, and historical writing, which states the world as it was, intersect to create a text. In “Whale Star,” there is also a writing strategy that gives realism to the text, which is the placement of literary objects on top of historical facts. Similar to the technique of augmented reality, events and objects become vividly realistic as the reality of what happened is added to the reality of history.
“In Whale Star, literary writing and historical writing do not intersect, but rather have the form of a scaly structure, like the scales of a fish, which are enclosed in a form that only slightly shares the boundary. Rather than overlapping each other, history and literature lean against each other like fish scales, coloring each other. In terms of semantics, the central narrative of the armed independence struggle is overshadowed by the personal loves and struggles of the characters. In particular, the speech of the peripheral characters trivializes the larger narrative of the armed struggle for independence. The foregrounding of the peripheral narrative while overshadowing the central narrative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 writing of 『Whale by Whale』.declive In addition, “Whale Star” simultaneously operates on both literary and historical levels, foregrounding events related to the independence struggle, i.e., the love and conflict between the characters that are in the background of the central narrative. “In The Whale Star, the narrative strategy of foregrounding the peripheral narrative while sidestepping the central narrative is employed. The history of the armed independence struggle and the story of the mermaid princess are intertwined and color each other, and the foregrounding of the periphery and the distancing of the center in terms of narrative emphasizes the voices of Korean women such as Cho Yoon-hwa and Suah, who have not been given a voice in history. This emphasis on the periphery and the de-centering of the center is a characteristic of the narrative writing of the webtoon Whale Star. Although the writing strategy of “Whale Star” may not be a common writing strategy in webtoons in general, it is an effective writing strategy that cross-references history and literature to give each other a sense of fun and realism, and it is still an effective way of thinking and expressing in the digital age, where genres are often re-marketed.
목차
1. 서론
2. 문학적 글쓰기와 역사적 글쓰기의 임브리케이션
3. 주변 서사의 전경화와 중심 서사의 비껴가기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생태 작문의 이론과 교육적 적용 - 기후 위기 시대의 대학 글쓰기 교육
-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신입생 대상 교과 개발 및 예비 대학에서의 운영 성과
- 공학계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인식 및 교육요구도 분석
- 캐나다 BC주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구조와 수업 자료 분석 - 정보 및 뉴스의 신뢰성 검증과 미디어 재현을 중심으로
- MZ세대의 고전 읽기 방식 전환과 교수 전략 - 『토지』 강독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중년여성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여성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 시니어 비독자 대상 독서모임 운영의 효과 연구 - ‘전문가 운영 모임’과 ‘자율 운영 모임’의 결과 비교
- 교양교육으로서의 한국고전문학 수업 방안 모색(1) - <고전인문학산책> 수업 설계를 중심으로
- 1950년대 여성 글쓰기 연구 - 임옥인의 『여학생의 문장강화』를 중심으로
- 해방기 소설작법론 연구 - 정비석의 『소설작법』과 이무영의 『소설작법』을 중심으로
- 이연주 시에 나타나는 우울 주체의 수사 연구
- 미디어에 나타난 포스트-트루스(post-truth)적 관점의 사회문화 리터러시 연구 - ‘킥서비스’의 <203n년> 시리즈를 중심으로
- 리터러시 연구 16권 3호 목차
- 중·고등학생의 쓰기 교육 경험 연구 - 쓰기 평가 결과와의 상관을 중심으로
- 공공언어 작성자를 위한 효과적인 공공언어 교육 방안 - 창원특례시 공무원 공공언어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과 인간의 글쓰기 작동 원리 비교 분석 - 디지털 리터러시 전환기에서 쓰기 교육의 이론적 재구성 모색
- 교사 피드백 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고쳐쓰기 특성 분석 연구 - 쓰기 결과물과 피드백 반영 어려움을 중심으로
- 문학적 담론과 역사적 담론의 나란히 서기 - 웹툰 『고래별』의 글쓰기 전략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