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cocomposition Theory and Its Educational Applications :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in the Era of Climate Crisi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유희재(Huijae Yu)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3호, 13~3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후 위기 시대에 대응하는 대학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방향으로서 생태작문(ecocomposition)의 이론적 토대와 교육적 적용 방안을 탐색하였다. 생태작문은 글쓰기와 장소, 자연, 담화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분야로, 환경에 대한 비판적 의식 접근법과 담화 생태학적 접근법을 통합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생태작문의 이론적 배경으로 생태언어학과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글쓰기 개념을 고찰하였다. 이어서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환경 실천으로서의 글쓰기를 효과적으로 통합하기 위한 네 가지 교육적 원리로 학제적 읽기 자료의 통합, 생태적 언어 사용, 생태계로서의 글쓰기 이해, 교실을 넘어선 독자와의 소통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후 성찰 에세이와 기후 해결 보드게임 프로젝트라는 두 가지 구체적인 교육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교육적 실천은 학생들이 생태적 시민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환경 실천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대학 글쓰기 교육이 기후 위기 시대에 생태적 사고와 실천을 촉진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and educational applications of ecocomposition as a new direction for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climate crisis. Ecocomposition is a field that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ing, place, nature, and discourse, integrating both critical consciousness and discursive ecology approaches.
The study first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ecocomposition, focusing on ecolinguistics and writing as social practice. It then presents four educational principles for effectively integrating environmental practice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of ecological reading materials, critical awareness of ecological language use, understanding writing as an ecosystem, and communication with readers beyond the classroom.
Based on this theoretical discussion, two specific educational models are proposed: climate reflection essays and climate solution board game projects. These educational practices can contribute to students forming identities as ecological citizens and growing as agents of environmental practice.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otential for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to function as an important medium for promoting ecological thinking and practice in the era of climate crisi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생태작문(ecocomposition)과 대학 글쓰기
4. 환경 실천으로서의 글쓰기
5. 생태 중심 글쓰기 과제 제안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생태 작문의 이론과 교육적 적용 - 기후 위기 시대의 대학 글쓰기 교육
-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신입생 대상 교과 개발 및 예비 대학에서의 운영 성과
- 공학계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인식 및 교육요구도 분석
- 캐나다 BC주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구조와 수업 자료 분석 - 정보 및 뉴스의 신뢰성 검증과 미디어 재현을 중심으로
- MZ세대의 고전 읽기 방식 전환과 교수 전략 - 『토지』 강독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중년여성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여성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 시니어 비독자 대상 독서모임 운영의 효과 연구 - ‘전문가 운영 모임’과 ‘자율 운영 모임’의 결과 비교
- 교양교육으로서의 한국고전문학 수업 방안 모색(1) - <고전인문학산책> 수업 설계를 중심으로
- 1950년대 여성 글쓰기 연구 - 임옥인의 『여학생의 문장강화』를 중심으로
- 해방기 소설작법론 연구 - 정비석의 『소설작법』과 이무영의 『소설작법』을 중심으로
- 이연주 시에 나타나는 우울 주체의 수사 연구
- 미디어에 나타난 포스트-트루스(post-truth)적 관점의 사회문화 리터러시 연구 - ‘킥서비스’의 <203n년> 시리즈를 중심으로
- 리터러시 연구 16권 3호 목차
- 중·고등학생의 쓰기 교육 경험 연구 - 쓰기 평가 결과와의 상관을 중심으로
- 공공언어 작성자를 위한 효과적인 공공언어 교육 방안 - 창원특례시 공무원 공공언어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과 인간의 글쓰기 작동 원리 비교 분석 - 디지털 리터러시 전환기에서 쓰기 교육의 이론적 재구성 모색
- 교사 피드백 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고쳐쓰기 특성 분석 연구 - 쓰기 결과물과 피드백 반영 어려움을 중심으로
- 문학적 담론과 역사적 담론의 나란히 서기 - 웹툰 『고래별』의 글쓰기 전략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