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성형 인공지능과 인간의 글쓰기 작동 원리 비교 분석 - 디지털 리터러시 전환기에서 쓰기 교육의 이론적 재구성 모색

이용수  0

영문명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Writing Mechanisms of Generative AI and Humans : Exploring the Theoretical Reconfiguration of Writing Education in the Transitional Era of Digital Literacy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주민재(Minjae Joo)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6권 3호, 39~7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에 인간의 글쓰기와 인공지능의 글쓰기가 지니는 본질적 차이를 분석하고, 그 차이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글쓰기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인간의 글쓰기는 사고의 외화와 내면화를 반복하며 지식을 변형하고 확장하는 심층적 인지 행위인 반면, 인공지능의 글쓰기는 통계적 예측에 기반한 결과 중심의 출력이라는 점에서 구조적·기능적 차이를 지닌다. 이러한 맥락에서 글쓰기 교육은 프롬프트 활용 능력뿐만 아니라 사고의 주체로서 작동하는 인간의 질문 능력, 메타인지, 스키마, 자기주도성을 중심에 두어야 한다. 특히 질문 능력은 단순한 물음이 아니라 인공지능의 응답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재구성하여 사고를 심화시키는 핵심 역량으로 작동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비판적 프롬프트 리터러시’의 개념을 제시하고,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글쓰기 교육의 이론적 토대와 실천적 원리를 구체화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essential differences between human writing and AI-generated writing in the era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xplores effective directions for writing education based on these distinctions. Human writing functions as a cognitive process that externalizes and internalizes thought. It transforms and expanding knowledge through iterative reflection, In contrast, AI-generated writing produces outcome-oriented outputs based on statistical predictions. In this context, writing education must focus not only on prompt use skills but also developing the learner’s cognitive capacities as an agent of thinking.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question-posing ability, metacognition, schema develop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Questioning ability is especially important as it enables critical evaluation and reconstruction of AI responses. This process deepens human thought. Based on this problem awareness, this paper proposes the concept of “Critical Prompt Literacy” as an essential framework for guiding writing practices in AI-assisted environments. The paper also presents theoretical foundations and practical strategies for designing writing education that integrates human cognitive processes with generative AI technologies in a complementary and reflective manner.

목차

1. 인간과 인공지능 글쓰기의 본질적 차이
2. 질문 능력 개념의 확장과 인식의 전환
3.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개념과 교육적 함의
4.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글쓰기의 인지적 기반 요인
5. ‘비판적 프롬프트 리터러시’의 필요성과 구성 요소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민재(Minjae Joo). (2025).생성형 인공지능과 인간의 글쓰기 작동 원리 비교 분석 - 디지털 리터러시 전환기에서 쓰기 교육의 이론적 재구성 모색. 리터러시 연구, 16 (3), 39-72

MLA

주민재(Minjae Joo). "생성형 인공지능과 인간의 글쓰기 작동 원리 비교 분석 - 디지털 리터러시 전환기에서 쓰기 교육의 이론적 재구성 모색." 리터러시 연구, 16.3(2025): 39-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