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Writing Mechanisms of Generative AI and Humans : Exploring the Theoretical Reconfiguration of Writing Education in the Transitional Era of Digital Literacy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주민재(Minjae Joo)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3호, 39~72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에 인간의 글쓰기와 인공지능의 글쓰기가 지니는 본질적 차이를 분석하고, 그 차이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글쓰기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인간의 글쓰기는 사고의 외화와 내면화를 반복하며 지식을 변형하고 확장하는 심층적 인지 행위인 반면, 인공지능의 글쓰기는 통계적 예측에 기반한 결과 중심의 출력이라는 점에서 구조적·기능적 차이를 지닌다.
이러한 맥락에서 글쓰기 교육은 프롬프트 활용 능력뿐만 아니라 사고의 주체로서 작동하는 인간의 질문 능력, 메타인지, 스키마, 자기주도성을 중심에 두어야 한다. 특히 질문 능력은 단순한 물음이 아니라 인공지능의 응답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재구성하여 사고를 심화시키는 핵심 역량으로 작동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비판적 프롬프트 리터러시’의 개념을 제시하고,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글쓰기 교육의 이론적 토대와 실천적 원리를 구체화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essential differences between human writing and AI-generated writing in the era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xplores effective directions for writing education based on these distinctions. Human writing functions as a cognitive process that externalizes and internalizes thought. It transforms and expanding knowledge through iterative reflection, In contrast, AI-generated writing produces outcome-oriented outputs based on statistical predictions.
In this context, writing education must focus not only on prompt use skills but also developing the learner’s cognitive capacities as an agent of thinking.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question-posing ability, metacognition, schema develop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Questioning ability is especially important as it enables critical evaluation and reconstruction of AI responses. This process deepens human thought. Based on this problem awareness, this paper proposes the concept of “Critical Prompt Literacy” as an essential framework for guiding writing practices in AI-assisted environments. The paper also presents theoretical foundations and practical strategies for designing writing education that integrates human cognitive processes with generative AI technologies in a complementary and reflective manner.
목차
1. 인간과 인공지능 글쓰기의 본질적 차이
2. 질문 능력 개념의 확장과 인식의 전환
3.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개념과 교육적 함의
4.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글쓰기의 인지적 기반 요인
5. ‘비판적 프롬프트 리터러시’의 필요성과 구성 요소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생태 작문의 이론과 교육적 적용 - 기후 위기 시대의 대학 글쓰기 교육
-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신입생 대상 교과 개발 및 예비 대학에서의 운영 성과
- 공학계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인식 및 교육요구도 분석
- 캐나다 BC주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구조와 수업 자료 분석 - 정보 및 뉴스의 신뢰성 검증과 미디어 재현을 중심으로
- MZ세대의 고전 읽기 방식 전환과 교수 전략 - 『토지』 강독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중년여성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여성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 시니어 비독자 대상 독서모임 운영의 효과 연구 - ‘전문가 운영 모임’과 ‘자율 운영 모임’의 결과 비교
- 교양교육으로서의 한국고전문학 수업 방안 모색(1) - <고전인문학산책> 수업 설계를 중심으로
- 1950년대 여성 글쓰기 연구 - 임옥인의 『여학생의 문장강화』를 중심으로
- 해방기 소설작법론 연구 - 정비석의 『소설작법』과 이무영의 『소설작법』을 중심으로
- 이연주 시에 나타나는 우울 주체의 수사 연구
- 미디어에 나타난 포스트-트루스(post-truth)적 관점의 사회문화 리터러시 연구 - ‘킥서비스’의 <203n년> 시리즈를 중심으로
- 리터러시 연구 16권 3호 목차
- 중·고등학생의 쓰기 교육 경험 연구 - 쓰기 평가 결과와의 상관을 중심으로
- 공공언어 작성자를 위한 효과적인 공공언어 교육 방안 - 창원특례시 공무원 공공언어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과 인간의 글쓰기 작동 원리 비교 분석 - 디지털 리터러시 전환기에서 쓰기 교육의 이론적 재구성 모색
- 교사 피드백 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고쳐쓰기 특성 분석 연구 - 쓰기 결과물과 피드백 반영 어려움을 중심으로
- 문학적 담론과 역사적 담론의 나란히 서기 - 웹툰 『고래별』의 글쓰기 전략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ducation and Teaching Vol.3 No.7 Contents
- 自我教育期望对智慧课堂学习投入的影响:以意向性自我调节为中介
- 应用型高校的教育家精神:传统根源与当代创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