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MZ세대의 고전 읽기 방식 전환과 교수 전략 - 『토지』 강독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Transformation of Classical Reading Approache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he MZ Generation : A Case Study of the Toji Reading Course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김연숙(yeonsook Kim)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6권 3호, 205~23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MZ세대 대학생들이 고전 텍스트(『토지』)를 읽는 방식의 변화에 주목하고, 이에 대응하는 교수 전략의 조정이 독서 경험과 수용 태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기존의 ‘완독’ 중심 고전 읽기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자율성과 몰입을 촉진하는 경험 중심의 교수 설계를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텍스트 전체에 대한 완독과 해석보다는 흐름 중심의 유연한 읽기를 유도하고, 감상 표현 중심의 과제 수행을 강조하였으며, 성취도 중심 평가 대신 참여 기반의 유연한 평가 방식을 도입하였다. 그 결과 읽기의 정서적 부담이 완화되고 학습자의 몰입이 강화되었으며, 읽기 경험의 내면화와 자기화가 촉진되었다. 또한 자기 결정성과 지속적인 독서 동기를 북돋는 학습 환경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고전 읽기를 단순한 텍스트 해석이 아닌, 학습자가 감정적으로 반응하고 자기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는 자율적 리터러시 실천의 장으로 확장시켰다. 본 연구는 고전 읽기 교육이 세대 간 리터러시 감각의 차이를 조정하고, 정서적 공감과 협력적 의미 구성을 유도하는 교육 실천으로 설계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고전을 현재의 삶과 연결하며 능동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수 전략은, 고전 읽기의 교육적 가능성을 확장하는 데 실질적 기여를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instructional strategies tailored to MZ-generation university students reshape their engagement with classic literature, focusing on the Korean novel Toji (The Land). The course moves away from a traditional model centered on complete reading and textual interpretation. Instead, the redesign aims to increase learner autonomy and reading immersion through experience-based approaches. Instead of requiring full-text completion, the instructional design encourages flexible, flow-oriented reading, prioritizes expressive reading assignments, and implements participation-based assessment rather than performance-oriented grading. As a result, students experience reduced emotional burden, increased immersion, and deeper internalization of the reading experience. The learning environment also increases self-determination and sustains motivation. These changes transform classical reading from a task of mere textual interpretation into a space for autonomous literacy practices, where learners can emotionally engage with texts and interpret them from their own perspectives. The findings show that educators can restructure classic literature education to address generational differences in literacy sensibilities. When educators support students in actively reinterpreting texts by connecting them to their own lives, the redesigned strategies demonstrate a meaningful pedagogical shift. This shift increases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classic reading.

목차

1. 디지털 세대와 고전 읽기 교육의 간극
2. 선행 연구 검토
3. 고전 읽기 수업의 전략적 변화
4. 고전 읽기 교육의 전환 가능성과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연숙(yeonsook Kim). (2025).MZ세대의 고전 읽기 방식 전환과 교수 전략 - 『토지』 강독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16 (3), 205-232

MLA

김연숙(yeonsook Kim). "MZ세대의 고전 읽기 방식 전환과 교수 전략 - 『토지』 강독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16.3(2025): 205-2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