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연주 시에 나타나는 우울 주체의 수사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Depression Subjects in Lee Yeon-ju’s Poetry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이영주(Youngju Lee)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6권 3호, 417~44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연주 시를 우울한 주체와 연관 지어 강박적 은유와 다시 쓰기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시의 파급력을 정서 전달의 차원으로 보았을 때 읽는 자에게 불편함을 던져주는 이연주 시에 대한 공통적인 시각은 충격과 파괴력, 파멸의 문제로 집중된다. 이는 시의 언어적 전략임에도 이연주 시인의 삶과 죽음을 염두에 두고 분석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시인의 죽음으로 인해 그의 시가 실제 죽음과의 연관성에 집중되어 한정되거나 축소된 측면이 있다. 본 연구는 이연주 시가 근원 이미지의 반복, 변형, 자기 파괴, 자기 폭로를 동반한 다양한 강박적 은유의 언술을 통해 우울한 주체를 구성하고 있음을 살펴본다. 그를 통해 현실의 모순을 폭로함으로써 새로운 사회에 대한 열망을 드러내고 있음을 주목하려고 한다. 이연주 시는 현대 사회의 우울증적 징후를 보여주고 자기 파괴와 소외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드러낸다. 불행한 출산 배경과 가족의 붕괴, 그로 인한 사회적 전망의 부재를 통해 욕망에 실패한 언어의 근원적 상실이 어디에서 출발하는지를 보여준다. 또한 우울한 주체가 사회에서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강조한다. 본 연구는 근원 이미지로서 ‘훼손된 자궁’ 이미지를 제시하고 폭력적이고 불안한 탄생을 거쳐, 사회의 온전한 구성원으로 자리하기 힘든 존재들이 가족의 붕괴라는 끔찍한 현실에서 자기 파괴와 자기 폭로의 언술을 반복하는 것을 들여다본다. 또한 언어의 파편화를 경유하여 끝내 더 큰 소외를 겪게 되는 과정을 강박적 은유의 반복 변형을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 이연주 시인의 부정성은 더 나은 세계로 가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현실 사회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사회에 대한 열망이 부정성을 통해 더욱 강렬하게 드러난 것이다. 인간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인지 질문하며, 여러 징후와 양상을 환기하고 우울한 주체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보여줌으로써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analyze Lee Yeon-ju's poem from the perspective of compulsive metaphor and rewriting in relation to a depressed subject. When looking at the impact of poetry as a dimension of emotional communication, the common view of Lee Yeon-ju's poem, which throws inconvenience to the reader, is focused on the problem of shock, destruction, and destruction. Although this is a linguistic strategy of poetry, most of the methods are analyzed with the life and death of poet Lee Yeon-joo in mind. Due to the real event of death, his poetry has been limited or reduced as an element of myth.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Lee's obsessive metaphors and reinventions of the depressed subject, with their repetition, transformation, self-destruction, and self-exposure, reveal a desire for a new society. Lee Yeon-ju's poem shows depressive signs in modern society and actively reveals the problems of self-destruction and alienation. It shows where the fundamental loss of language that has failed to desire begins through the unfortunate birth background, the collapse of the family, and the lack of social outlook. It also emphasizes how the depressed subject is treated in society. This study presents the image of a 'damaged uterus' as the root image and examines the repetition of self-destruction and self-exposure in the terrible reality of family collapse by beings who are difficult to become full members of society through violent and unstable birth.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show the process of eventually experiencing greater alienation through the fragmentation of language through repeated transformations of compulsive metaphors. Poet Lee Yeon-ju's negativity was an inevitable choice to go to a better world. Criticism of the real world and the desire for an ideal society were revealed more intensely through negativity. The unfortunate birth background, the collapse of the family, the absence of social prospects, and the failure of love evoke the point of fundamental loss and reveal the contradictions of individual suffering and modern society. It questions what the true meaning of human beings is, and seeks new possibilities by evoking various signs and patterns of depressed subjects.

목차

1. 서론
2. 강박적 은유와 근원 이미지 탐색
3. ‘훼손된 자궁’의 반복과 변형
4. 불행한 유년과 가정의 붕괴
5. 더듬거림과 중얼거림의 언어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주(Youngju Lee). (2025).이연주 시에 나타나는 우울 주체의 수사 연구. 리터러시 연구, 16 (3), 417-449

MLA

이영주(Youngju Lee). "이연주 시에 나타나는 우울 주체의 수사 연구." 리터러시 연구, 16.3(2025): 417-4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