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iveness of Reading Groups for Senior Non-readers : A Comparative Study of Expert-led and Self-managed Group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순영(Soonyoung Lee) 김주환(Joohwan Kim)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3호, 315~34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50대 이상의 시니어 비독자 54명을 대상으로 하여 1개월간 ‘전문가 운영 독서모임(실험군)’과 ‘자율 운영 독서모임(대조군)’을 운영한 다음, 참여자들의 독자 전환 효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크게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독서모임 참여 후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독서율’이 크게 높아졌으며, 2개월 후 시행된 지연검사에서도 비슷한 수준이 유지되었다. 둘째, 독서모임 참여 후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독서인식’ 점수가 향상되었다. 그러나 사후검사에서는 실험군의 점수가, 지연검사에서는 대조군의 점수가 더 높았다. 셋째, 독서모임 참여 후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독서행동’ 점수가 높아졌으나 실험군의 점수가 대조군보다 높았다. 넷째,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독서모임의 만족도’가 높았으나 실험군의 만족도가 좀 더 높았다. 다섯째, 두 집단 모두 독서유인(독서행동, 독서인식 점수 변화) 효과가 나타났으나 변화 양상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실험군은 독서행동의 개선 효과가 사후와 지연에 매우 크고, 독서인식은 모임 직후에 개선폭이 컸다. 반면 대조군은 독서인식이 사후와 지연에 걸쳐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독서행동의 개선폭은 실험군보다 적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전문가 운영 모임이 독서유인, 특히 독서행동의 효과가 더 즉각적으로 나타나고 참여자의 만족도도 더 높았으나, 자율 운영 모임은 비용이 낮고 확장성이 높으면서도 기본적 독서율 제고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독서모임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으로 단기간 ‘전문가/사서 운영 독서모임’에서 독서토론 방법을 숙지한 후, 이후에는 ‘자율 운영 독서모임에 참여하도록 지원’하는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reading group participation on transforming non-readers into active readers. The participants were 54 senior non-readers aged 50 and abov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t-led reading group (experimental group) and a self-managed reading group (control group). The analysis produced five key findings. First, participation in both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reading frequency, with improvements sustained at the two-month follow-up. Second, both groups demonstrated enhanced perceptions of reading. The expert-led group initially scored higher, but the control group surpassed them at follow-up. Third, reading behavior improved in both groups, with the expert-led group achieving substantially greater gains. Fourth, although both groups reported high levels of satisfaction, the expert-led group expressed slightly higher satisfaction. Fifth, the expert-led group showed a more immediate increase in reading engagement. However, the two groups followed different developmental trajectories: the expert-led group started with a strong initial boost that later stabilized, while the self-managed group showed steady, gradual improvement over tim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itiating reading interventions with expert-led groups, followed by a transition to self-managed formats, may be the most effective strategy for fostering sustained reading habits among senior non-readers.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생태 작문의 이론과 교육적 적용 - 기후 위기 시대의 대학 글쓰기 교육
-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신입생 대상 교과 개발 및 예비 대학에서의 운영 성과
- 공학계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인식 및 교육요구도 분석
- 캐나다 BC주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구조와 수업 자료 분석 - 정보 및 뉴스의 신뢰성 검증과 미디어 재현을 중심으로
- MZ세대의 고전 읽기 방식 전환과 교수 전략 - 『토지』 강독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중년여성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여성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 시니어 비독자 대상 독서모임 운영의 효과 연구 - ‘전문가 운영 모임’과 ‘자율 운영 모임’의 결과 비교
- 교양교육으로서의 한국고전문학 수업 방안 모색(1) - <고전인문학산책> 수업 설계를 중심으로
- 1950년대 여성 글쓰기 연구 - 임옥인의 『여학생의 문장강화』를 중심으로
- 해방기 소설작법론 연구 - 정비석의 『소설작법』과 이무영의 『소설작법』을 중심으로
- 이연주 시에 나타나는 우울 주체의 수사 연구
- 미디어에 나타난 포스트-트루스(post-truth)적 관점의 사회문화 리터러시 연구 - ‘킥서비스’의 <203n년> 시리즈를 중심으로
- 리터러시 연구 16권 3호 목차
- 중·고등학생의 쓰기 교육 경험 연구 - 쓰기 평가 결과와의 상관을 중심으로
- 공공언어 작성자를 위한 효과적인 공공언어 교육 방안 - 창원특례시 공무원 공공언어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과 인간의 글쓰기 작동 원리 비교 분석 - 디지털 리터러시 전환기에서 쓰기 교육의 이론적 재구성 모색
- 교사 피드백 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고쳐쓰기 특성 분석 연구 - 쓰기 결과물과 피드백 반영 어려움을 중심으로
- 문학적 담론과 역사적 담론의 나란히 서기 - 웹툰 『고래별』의 글쓰기 전략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 Review of Research on the Governance of Cross-Border Data Flow from the Perspective of Administrative Law
- Journal of China Studies Vol.3 No.7 Contents
- 习近平生态文明思想中民族地区生态治理理论的生成逻辑与实践路径——基于马克思主义文明观视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