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Instructor Role Performance on Career Aspiration in Beauty Academie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Competency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석지수(Ji su Seok) 리순화(Shun hua Li)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제29권 제3호, 177~20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미용학원 교육에서 교육서비스품질과 진로포부의 관계에서, 강사역할수행과 진로포부의 관계에서 수강생 학습역량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용학원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수강생 4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은 교육시설, 직원서비스, 운영서비스로, 강사역할수행의 하위요인은 학습지도, 보충지도, 생활지도, 학급운영으로 분류되었으며 학습역량과 진로포부는 단일요인으로 요인들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정한 후,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미용학원 수강생의 주 수강목적은 취·창업이고 진로결정에 가장 큰 영향은 강사의 수업내용으로 나타났다. 교육서비스품질과 강사역할수행은 학습역량과 진로포부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교육서비스품질과 진로포부의 관계에서, 강사역할수행과 진로포부의 관계에서 학습역량은 매개효과를 나타냈고, 강사역할수행이 교육서비스품질보다 학습역량에 더 큰 정(+)적 영향을, 교육서비스품질이 강사역할수행보다 진로포부에 더 큰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미용학원 교육 현장에서 질적 서비스 향상과 강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체계적 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수강생의 학습역량 향상과 진로포부 형성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role of learning compet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career aspiration, and between instructor role performance and career aspiration in beauty academy education. A survey of 493 participants with beauty academy experience was conduct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comprised educational facilities, staff services, and operational services, while instructor role performance included instructional guidance, supplementary instruction, life guidance, and class management. Results showed that both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instructor role performance positively influenced learning competency and career aspiration. Learning competency significantly mediated both relationships. Instructor role performance had a stronger impact on learning competency, whereas educational service quality had a greater influence on career aspirat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systematic quality management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instructors to enhance student learning and career planning in beauty academ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30년대 아동극의 교육적 기능과 홀리스틱 융합 교육: 민족 교육과 감성 교육의 상호작용
- 성인의 교육 관련 정서에 관한 집단 간 차이와 영향 요인 분석
- 참관자에서 질적연구자로: 네트워크와 성찰의 자문화기술지
- 미용학원 교육서비스품질 및 강사역할수행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수강생 학습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기대, 우려 및 해결책 탐구: 포토보이스 방법론으로
- 중국 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학교 조직문화 유형과 교사 정체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직업계고 취업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및 정책적 개선 방향
- 간호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소명의 매개효과
- 여성 교과교습학원장의 직업 정체성 형성 탐구
참고문헌
- 홀리스틱교육연구
- 한국교원교육연구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한국어문교육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직업교육연구
-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진로교육연구
-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국제보건미용학회 춘계학술컨퍼런스
-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 교육연구논총
- 품질경영학회지
- 벤처창업연구
- 한국미용학회지
- 건국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용예술경영연구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 한국조리학회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서울: 학이당
-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융합과 통섭
-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교육문화연구
- 새국어교육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 교육심리연구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한국미용학회지
- 한국미용학회지
- 서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한국미용학회지
- 사교육연구
- 한국산업경제학회 정기학술발표대회 초록집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한국미용학회지
- 관광학연구
- 서울벤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서울: 학지사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New York: Freeman
- In W. B. Walsh, L. Y. Flores, P. J. Hartung, & F. T. L. Leong (Eds.), Career psychology: Models, concepts, and counseling for meaningful employment
- International Journal of Emerging Technologies in Learning
- Englewood Cliffs, NF: Prentice-Hall
- Sustainability
-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 Jurnal Teknologi Pendidikan
- Journal of Retailing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