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Group Differences and Determinants in Adults’ Education-Related Sentiment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장준호(Jun-Ho Chang) 김종민(Chong Min Kim) 최원석(Wonseok Choi) 이동희(Donghee Lee)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제29권 제3호, 71~9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교육 관련 정서(수업·학습·시험에 대한 긍·부정 감정을 통합한 합성 변수)를 규명하고, 집단 간 차이와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2024년 교육여론조사에 참여한 만 19-59세 성인 2,020명이었으며, 분석 방법은 집단 간 차이를 위해 일원 분산분석모형(사후비교 포함)을, 영향 요인 분석을 위해 4단계 위계적 회귀모형(1단계 인구통계(거주 지역·성별·연령·소득·학력), 2단계 교육 철학 성향, 3단계 교육 문제 심각성·사교육비 부담 영향 인식, 4단계 문제 인식과 변화 태도(순응형·인식형·실천형·변화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 철학 성향에 따른 수업·시험의 긍정·부정 감정, 학습 부정 감정에서, 문제 인식과 변화에 대한 태도 유형에 따른 수업· 학습·시험의 긍정·부정 감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집단 간 평균의 차이를 발견하였다. 둘째, 20대와 30대, 100∼300만 원 미만, 고졸 이하, 그리고 전북 특별자치도 거주 여부가 교육 관련 정서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고. 사교육비 부담 영향 정도 변수와 행동주의 교육 철학과 ‘실천형’ 태도 유형이 교육 관려 정서에 부정적 효과를 보였고, 최종 모형의 설명력은 5%였다. 결론은 성인이 인식한 교육 관련 정서는 단순한 인구 사회학적 요인을 넘어 교육에 대한 철학적 신념, 정책 인식, 사회 변화에 대한 태도에 의해 복합적으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기대효과는 교육 정서 연구의 다차원 분석 틀 제공과 세대·소득·지역별 정서 격차 해소 정책 근거 마련이며, 제안 및 시사점으로 교육 관련 정서를 반영한 교육정책 설계와 청년·저소득층 교육 관련 정서 개선 지원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adults’ education-related sentiment(a composite index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toward teaching, learning, and testing), focusing on group differences and their determinants. Participants were 2,020 adults aged 19-59 who completed the 2024 Education Opinion Survey. Predictors were entered hierarchically (1) demographics (region, sex, age, income, and education), (2) preferred educational-philosophy orientation, (3) perceived severity of education problems and perceived impact of private-education-cost, and (4) problem-recognition and change-attitude typology. Group-mean comparisons using one-way ANOVA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 teaching/testing emotions(positive and negative) and learning emotions(negative) across philosophy orientations, and (b) all three emotion domains across change-attitude types. Hierarchical regression showed that being in one’s 20s or 30s, earning less than KRW 1-3 million per month, holding at most a high-school diploma, and residing in Jeollabuk-do independently predicted more negative emotions. Beyond demographics, higher perceived private-education cost burdens, endorsement of a behaviorist philosophy, and a hands-on ‘action’ change attitude also exerte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The final model accounted for 5% of the variance. Findings indicate that adults’ education-related sentiment arise from an interplay of demographic position, philosophical beliefs, policy perceptions, and social-change orientations rather than from demographics alone. The study offers a multidimensional framework for sentiment research, highlights sentiment disparities by generation, income, and region, and suggests that education policies should incorporate citizens’ emotional responses—particularly for young and low-income groups—to bolster positive engagement with school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성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30년대 아동극의 교육적 기능과 홀리스틱 융합 교육: 민족 교육과 감성 교육의 상호작용
- 성인의 교육 관련 정서에 관한 집단 간 차이와 영향 요인 분석
- 참관자에서 질적연구자로: 네트워크와 성찰의 자문화기술지
- 미용학원 교육서비스품질 및 강사역할수행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수강생 학습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기대, 우려 및 해결책 탐구: 포토보이스 방법론으로
- 중국 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학교 조직문화 유형과 교사 정체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직업계고 취업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및 정책적 개선 방향
- 간호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소명의 매개효과
- 여성 교과교습학원장의 직업 정체성 형성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