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참관자에서 질적연구자로: 네트워크와 성찰의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24

영문명
From Observer to Qualitative Researcher: An Autoethnography of Networks and Reflection
발행기관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저자명
추미연(Mi-hyun Chu) 김영순(Young-Soon Kim)
간행물 정보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제29권 제3호, 45~6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연구자였던 연구자가 박사과정의 학습경험을 통해 질적연구자로 성장하는 경험의 의미를 탐색한 자문화기술지이다. 질적연구자로 성장하는 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연구자이자 연구참여자인 나는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 대학원 수업. 학회, 협력연구 등에 참여하며 작성한 성찰일지를 분석하였고,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발달 3단계 분석체계’의 방법으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질적연구자로 성장하는 과정을 3단계로 범주화한 제목은 ‘네트워크 의존: 사회인과 연구자의 줄다리기’, ‘네트워크 협상: 든든한 지지대에 의지해 자라나는 넝쿨식물’, ‘네트워크 확장: 다름 안에서 협력이란 성장통’이다. 연구자이자 연구참여자인 나는 학습경험을 통해 소극적인 참관자에서 적극적인 참여자로 성장하였으며, 질적연구자로 되어가는 정체성을 발견하였다. 또한, 학문공동체 안에서 타자(지도교수와 많은 교수, 동료, 선후배)와의 상호문화적인 네트워크 관계가 질적연구자로 성장하게 하는 역량임을 깨달았다. 그리고, 협력연구의 방식이 개인의 성장뿐 아니라 학문공동체의 지속적인 성장을 이끄는 동력임을 알았고, 학문수행 과정에서 반복적인 성찰 행위는 예비연구자를 질적연구자로 변화시키는 실질적인 기술임을 배웠다. 이 연구는 질적연구에 입문한 예비연구자들에게 학습경험과 자기성찰의 예시를 보여줌으로써 질적연구의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autoethnography that explores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a novice researcher growing into a qualitative researcher through learning experiences in a doctoral program. To examine the process of becoming a qualitative researcher, I, as both researcher and participant, analyzed reflective journals written from January to December 2024 during participation in graduate courses, academic conferences, and collaborative research. The research findings were derived using the “Three-Stage Analytical Framework for Novice Resear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process of growing into a qualitative researcher was categorized into three stages, titled: “Network Dependence: The Tug-of-War Between Social Being and Researcher,” “Network Negotiation: Growing Like a Vine Supported by a Strong Trellis,” and “Network Expansion: Growing Pains of Collaboration Amid Differences.” Through these learning experiences, I grew from a passive observer to an active participant and discovered my emerging identity as a qualitative researcher. I also realized that intercultural network relationships within the academic community—including advisors, professors, peers, and juniors/seniors—are key to developing as a qualitative researcher. Furthermore, I found that collaborative research not only drives individual growth but also serves as a driving force for the ongoing development of the academic community. Repeated acts of reflection throughout the research process proved to be a practical skill that transforms novice researchers into qualitative researcher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novice researchers new to qualitative research by providing examples of learning experiences and self-reflection, thereby deepening their understanding of qualitative research.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추미연(Mi-hyun Chu),김영순(Young-Soon Kim). (2025).참관자에서 질적연구자로: 네트워크와 성찰의 자문화기술지.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9 (3), 45-69

MLA

추미연(Mi-hyun Chu),김영순(Young-Soon Kim). "참관자에서 질적연구자로: 네트워크와 성찰의 자문화기술지."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9.3(2025): 45-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