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Call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홍성표(Seong Pyo Hong) 임은미(Eun Mi Lim)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제29권 제3호, 127~15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진로 소명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전북, 부산·경남, 대전·충남, 경기 지역의 간호대학생 292명을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 진로소명,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285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WIN 27.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내재적 전공선택동기와 외재적 전공선택동기, 진로소명, 대학생활적응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소명은 내재적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며, 외재적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간호대학생의 내재적 전공선택동기와 진로소명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직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재적 전공선택동기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재적 전공선택동기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소명을 통한 간접효과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선택동기와 진로소명 모두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효과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는 중·고등학교 시기부터 내재적 동기의 개발과 진로소명을 강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call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292 students from Jeonbuk, Busan·Gyeongnam, Daejeon·Chungnam, and Gyeonggi regions regarding their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career calling,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A total of 285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7.0 and AMOS 26.0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career calling,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career call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and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insic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Third, the direct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and career calling on university life adjustment were significant, whereas the direct effect of extrinsic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on university life adjustment was not significant. Fourth, only the indirect effect through career call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insic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Both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and career calling were found to influence nursing students’ university life adjustment. Therefore, to effectively support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it is necessary to foster intrinsic motivation and strengthen career calling from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30년대 아동극의 교육적 기능과 홀리스틱 융합 교육: 민족 교육과 감성 교육의 상호작용
- 성인의 교육 관련 정서에 관한 집단 간 차이와 영향 요인 분석
- 참관자에서 질적연구자로: 네트워크와 성찰의 자문화기술지
- 미용학원 교육서비스품질 및 강사역할수행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수강생 학습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기대, 우려 및 해결책 탐구: 포토보이스 방법론으로
- 중국 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학교 조직문화 유형과 교사 정체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직업계고 취업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및 정책적 개선 방향
- 간호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소명의 매개효과
- 여성 교과교습학원장의 직업 정체성 형성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