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업계고 취업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및 정책적 개선 방향

이용수  27

영문명
Effectiveness of Vocational High School Employment Programs and Directions for Policy Enhancement
발행기관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저자명
이문수(Moonsoo Lee) 임혜진(Hyejin Lim) 차정인(Jeongin Cha)
간행물 정보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제29권 제3호, 203~22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취업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지속 가능성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이에 따른 정책적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G지역 직업계고 재학생, 졸업생, 진로 담당 교사, 중소기업 인사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Kirkpatrick의 평가모형 중 반응, 학습, 행동의 측면에서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발적 진학 동기를 가진 학생일수록 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와 학업 성취도, 현업 적용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학생과 졸업생의 현업 적용도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효과의 지속성은 확인되었으나, 점진적 감소 경향이 나타나 장기적 측면에서의 효과성을 위한 재교육 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진로’, ‘정보’, ‘현장 경험’이 취업 교육 프로그램의 핵심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학생과 교사, 산업체 관계자 모두 맞춤형 실무교육, 현장실습 확대, 취업 후 후속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직업계고 취업 교육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고졸 인력의 지속 가능한 고용과 중소기업의 인력 수급 안정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sustainability of employment-linked education programs in vocational high schools (VHS) in Korea, focusing on their impact on students’ workplace adaptability and employment retention. The research includes survey and interview data collected from VHS students, graduates, teachers, and HR officers in SMEs. Employing Kirkpatrick's evaluation model, the study assessed satisfaction, learning outcomes, and behavior change. Results showed that voluntary motivation for VHS enrollment led to significantly higher program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Graduates with one-year work experience demonstrated the highest job applicability, highlighting the short-term benefits of such programs. However, effects tended to decline by the second year, indicating a need for post-employment retraining systems. Text mining analysis confirmed that 'information', 'field experience', and 'skills application' were key themes linked to program effectiveness. Teachers and industry professional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xpanding customized internships and mentoring programs. Policy implications include building a regional employment-data platform, expanding continuing education pathways, and reinforcing government support for high school-industry collaboration. These findings provide strategic directions for improving vocational training and supporting sustainable employment for high school graduates in regional SM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문수(Moonsoo Lee),임혜진(Hyejin Lim),차정인(Jeongin Cha). (2025).직업계고 취업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및 정책적 개선 방향.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9 (3), 203-225

MLA

이문수(Moonsoo Lee),임혜진(Hyejin Lim),차정인(Jeongin Cha). "직업계고 취업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및 정책적 개선 방향."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9.3(2025): 203-2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