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 교과교습학원장의 직업 정체성 형성 탐구

이용수  21

영문명
Exploring th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of Female Subject-Based Private Tutoring Institute Directors
발행기관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저자명
박경희(Kyoung Hee Park) 박명희(Myung Hee Park)
간행물 정보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제29권 제3호, 151~17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성 교과교습학원장이 어떠한 맥락에서 창업을 결심하고, 어떻게 교육경영을 실천하여 직업 정체성을 형성해 왔는지를 근거이론으로 탐색하였다. 이들은 단순한 생계형 창업자가 아닌, 공교육의 한계를 보완하고 지역 사회 학습자의 요구를 수용하는 민간 교육 전문가로서 기능하고 있었다.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 여성 교과교습학원장 8명을 심층 면담하고, 체계적 근거이론 분석을 통해 ‘빛나는 그림자 교육자’라는 핵심 범주를 도출하였다. 특히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욕구 기반의 내적 동기가 교육경영 실천에 영향을 주었으며, 수업 설계, 조직 운영, 학부모 관계 조율 등의 복합적 과제가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의 전문성과 노동은 제도적으로 비가시화되어 있으며, 직업 정체성의 위기 속에서 이들은 사회적 인식 개선과 정책적 참여, 제도적 보호 장치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여성 교과교습학원장이 교육과 경영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교육경영 실천의 주체임을 밝혀내며, 이들의 교육적 기능에 대한 재조명과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contexts in which female private tutoring institute directors decided to start their businesses and how they have formed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through the practice of educational management,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ese women are not merely survival-driven entrepreneurs but function as private educational experts wh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public education and respond to diverse local learning nee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female institute directors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s, and a systematic grounded theory analysis was applied, leading to the core category of the “luminous shadow educator.” Intrinsic motivation—rooted in the needs for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was found to influence their educational management practices, which involved complex tasks such as curriculum design, organizational operation, and parent relationship coordination. However, their expertise and labor remain institutionally unrecognized, resulting in identity crises and a strong demand for improved public recognition, policy participation, and institutional safeguards. This study reveals that female private tutoring directors are integrative agents of education and management, calling for a reexamination of their educational roles and increased policy suppor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경희(Kyoung Hee Park),박명희(Myung Hee Park). (2025).여성 교과교습학원장의 직업 정체성 형성 탐구.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9 (3), 151-176

MLA

박경희(Kyoung Hee Park),박명희(Myung Hee Park). "여성 교과교습학원장의 직업 정체성 형성 탐구."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9.3(2025): 151-1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