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omanian Foreign Policy in the Great Transition and its Implication for the Korean Peninsula
- 발행기관
- 통합유럽연구회
- 저자명
- 김정환(Jeong Hwan KIM)
- 간행물 정보
- 『통합유럽연구』제16권 1집, 267~28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난 30여 년간 루마니아의 외교와 국제 정책은 세 번의 단계를 거치며 발전하였다. 1990년부터 1993년까지의 첫 단계는 루마니아의 국제적 고립으로 점철되던 시대로 1993년에 이르러 유럽 공동체(EC)와 유럽 평의회(CoE)의 가입을 통해 시대의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 두 번째 단계는 NATO 가입과 전후의 시기(1994-2004년)이며, 세 번째 단계는 EU 가입과 오늘에 이르는 시기이다. 이 두 번에 걸친 전환기의 공통된 특징은 국가 정책의 발전이 무엇보다도 강대국 간의 관계 변화와 주변 지역의 역학관계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2004년 NATO의 회원국 이후 체제 전환의 마지막 단계는 2007년 EU 가입으로 여전히 진행형이다. 이 시기 루마니아의 외교정책은 지역적·유럽적·세계적 차원에서 EU 가입을 위한 주요 인적·물적 자원에 초점을 맞췄다. 체제 전환 이후 30여 년간 루마니아의 전략적 이니셔티브의 목표는 공간적, 특히 지정학적 관점에서의 유럽 안보 구조에서 루마니아의 위치를 집중화시키는 것이었다.
서유럽과 러시아로 양분되어 오늘날 ‘물리적 영향력’이 지역의 구도를 지배하고 있는 루마니아의 지정학적 사례는 한반도의 국제관계에 시사하는 나름의 의미를 가진다. 폴란드와 루마니아가 NATO 동부전선의 남북 최전선을 구축하고 있는 것처럼 한국도 일본과 함께 미국 주도의 환태평양 평화지대의 서부 전선을 구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가 안위를 위한 제도적 메커니즘에 대한 지속적 고민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ver the past 30 years, Romania’s foreign policy and international policy have developed in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from 1990 to 1993, was the period of Romania’s international isolation, which was resolved in 1993 by its accession to the European Community (EC) and the Council of Europe (CoE).
The second stage was the period around NATO accession (1994-2004), and the third stage was the period from EU accession to the present. The common feature of these two transition periods is that the development of national policy is determined above all by changes in relations between the great powers and the dynamics of the surrounding region.
After becoming a member of NATO in 2004, the last stage of the transition is still ongoing with the accession to the EU in 2007. During this period, Romania's foreign policy focused on the main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for EU accession at the regional, European and global levels. The goal of Romania's strategic initiatives for the three decades since the transition has been to centralize Romania's position in the European security architecture in terms of space, especially in terms of geopolitics.
The geopolitical case of Romania, which is divided between Western Europe and Russia and where ‘physical influence’ dominates the regional structure today, has its own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rel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Just as Poland and Romania are forming the southern and northern lines of NATO’s eastern front, Korea, along with Japan, is building the western front of the US-led Pacific Rim peace zone, and thus needs to continuously consider institutional mechanisms for national security.
목차
Ⅰ. 서론
Ⅱ. 1990년대의 불확실성과 루마니아의 외교정책
Ⅲ. 첫 번째 전환기: NATO 가입
IV. 두 번째 전환기: EU 가입
Ⅴ. 루마니아의 지정학적 위치와 한반도에 의 함의
Ⅵ.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오리엔탈 카펫(Oriental Carpet)의 유럽 수출입의 의미: 터키 카펫(Turkish Carpet)을 중심으로
- 누리예 울비예(Nuriye Ulviye)의 여권 운동과 『여성계(Kadınlar Dünyası): 오스만 황실 궁녀에서 페미니스트 언론인으로 거듭나다
- 헝가리의 이슬람 기억의 장소: 페츠(Pécs)의 여코발리 허싼(Jakováli Hasszán), 가지 카심(Gazi Kasim) 모스크를 중심으로
- 19세기 예술사적 관점에서 바라본 유럽 통합의 전조: 디에고 마르텔리와 마키아이올리, 그리고 인상주의
- 나치 점령기 북아프리카 유대인과 파리 대모스크의 역할
- 문화적 정체성 이론을 통한 포막족 결혼식 분석: 공동체 결속과 전통의 역할
- 유럽연합(EU)의 위험완화 전략과 중국산 전기차 상계관세: 미국 통상법 301조 관세 조치와의 비교
- 영국 중등 교육 과정 역사 학습서의 제1차 세계대전기 중동 서술 분석
- 탈식민화 시대 협력의 겉옷을 걸친 EU-아프리카 관계 연구: 로마조약(the Treaty of Rome, 1957), 야운데 협약(the Yaoundé Convention, 1963), 로메 협약(the Lomé Convention, 1975)을 중심으로
- 인문학적 관점에서 본 대전환기의 루마니아 외교정책과 한반도에의 함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