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헝가리의 이슬람 기억의 장소: 페츠(Pécs)의 여코발리 허싼(Jakováli Hasszán), 가지 카심(Gazi Kasim) 모스크를 중심으로
이용수 6
- 영문명
- Places of Islamic memory in Hungary: Jakováli Hasszán and the Gazi Kasim mosque in Pécs.
- 발행기관
- 통합유럽연구회
- 저자명
- 김지영(Ji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통합유럽연구』제16권 1집, 73~9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는 기억의 장소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헝가리의 이슬람 문화 유산을 검토해 보았다. 헝가리는 유럽에 정착한 이래 오스만제국과의 접변, 충돌, 지배의 과정에서 오스만제국이 남긴 이슬람 문화의 유산과 영향의 흔적이 많이 남아 있는 곳이다. 특히 오스만제국이 유럽으로 진출하는 중간 통로의 역할을 하는 헝가리 남부의 중심 도시 페츠에는 여코발리 허싼 모스크, 가지 카심 모스크가 거의 원형 그대로 남아 있다. 이 모스크들은 헝가리에 남아 있는 이슬람 문화의 대표적 유산으로 간주 된다. 이 글에서는 헝가리와 오스만제국의 관계사를 개괄해 보고, 페츠에 세워진 오스만제국의 기념비적인 모스크가 기억의 장소로서 작용하는 점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두 개의 모스크가 헝가리에 영향을 미친 오스만제국의 이슬람 문화유산을 기억하고, 반추하게 하는 ‘기억의 장소성’을 확인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y of civilisational exchanges between Hungary and the MENA region based on the concept of places of memory. The concept was proposed by French historian Pierre Nora, who describes sites of memory as ‘places where the memory of a nation is concentrated, systematised and crystallised. According to Pierre Nora, places of memory are ‘material and immaterial places where national memory has taken shape and influenced people's behaviour or consciousness, or where it has taken on special signs and symbols over the centuries’. Applying this concept,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Hungary and the Ottoman Empire, focusing on the ‘sites of memory’ that were formed in the course of the interaction between Europe's ‘central country’ and the Middle East, as well as between Christian and Islamic civilisations. In particular, the paper goes beyond simply examining the ‘historical fa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ngary and the Ottoman Empire to examine the ‘sites of memory’ that allow us to see the ‘mutual influences and cultural blending’ between Hungary and the Ottoman Empire and the Ottoman Empire and Hungary.
목차
I. 들어가는 말 : 헝가리와 이슬람 문화
II. 헝가리의 대표적 이슬람 문화유산
III.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오리엔탈 카펫(Oriental Carpet)의 유럽 수출입의 의미: 터키 카펫(Turkish Carpet)을 중심으로
- 누리예 울비예(Nuriye Ulviye)의 여권 운동과 『여성계(Kadınlar Dünyası): 오스만 황실 궁녀에서 페미니스트 언론인으로 거듭나다
- 헝가리의 이슬람 기억의 장소: 페츠(Pécs)의 여코발리 허싼(Jakováli Hasszán), 가지 카심(Gazi Kasim) 모스크를 중심으로
- 19세기 예술사적 관점에서 바라본 유럽 통합의 전조: 디에고 마르텔리와 마키아이올리, 그리고 인상주의
- 나치 점령기 북아프리카 유대인과 파리 대모스크의 역할
- 문화적 정체성 이론을 통한 포막족 결혼식 분석: 공동체 결속과 전통의 역할
- 유럽연합(EU)의 위험완화 전략과 중국산 전기차 상계관세: 미국 통상법 301조 관세 조치와의 비교
- 영국 중등 교육 과정 역사 학습서의 제1차 세계대전기 중동 서술 분석
- 탈식민화 시대 협력의 겉옷을 걸친 EU-아프리카 관계 연구: 로마조약(the Treaty of Rome, 1957), 야운데 협약(the Yaoundé Convention, 1963), 로메 협약(the Lomé Convention, 1975)을 중심으로
- 인문학적 관점에서 본 대전환기의 루마니아 외교정책과 한반도에의 함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