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딥시크와 중국 인공지능의 이념화

이용수  0

영문명
DeepSeek and the Ideologization of Chinese Artificial Intelligence
발행기관
한국세계지역학회
저자명
이은주(Eunju Lee)
간행물 정보
『세계지역연구논총』제43집 제3호, 39~6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국이 기존에 견지하던 기술에 대한 이념 중립적 접근에서 벗어나 딥시크(DeepSeek)가 이념화 현상을 보이는 원인을 규명하였다. 중국은 기술에 대한 실용주의적 태도를 바탕으로 경제 성장을 이룩해 왔으며, 인공지능 분야에서도 공정성과 비차별의 원칙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2025년 등장한 딥시크는 정부 입장을 대변하면서 이념화되었다. 이 현상은 크게 두 가지 요인에서 기인한다. 대외적으로는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중국은 과학기술의 자립자강을 목표로 국가 차원에서 기술 생태계에 적극 개입하였고 이는 기업 통제 강화, 중국 중심의 데이터 활용과 국내 개발자 증가로 이어졌다. 인공지능 개발은 학습 데이터와 개발자의 성향에 크게 좌우되며 중국 친화적 개발 환경은 딥시크의 응답에 중국의 특징이 반영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대내적으로는 시진핑 집권 이후 중국은 정치적 안정을 강조하며 이데올로기 통제를 강화해왔고, 이에 따라 온라인 공간을 규율하는 법적 지침들이 마련되었다. 이러한 규제는 인공지능 서비스의 제공과 사용이 사회주의 핵심 가치관을 벗어나지 않도록 통제하며 딥시크의 응답 범위와 표현을 제한하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asons behind the ideologization of DeepSeek, which diverges from China's traditionally neutral stance on technology. Historically, China has achieved economic growth through a pragmatic approach to technology, emphasizing principles such as fairness and non-discrimination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However, DeepSeek, which emerged in 2025, has become ideologically driven, reflecting the government's position. This phenomenon can be attributed to two major factors. Externally, amid intensifying U.S.-China technological rivalry, China has actively intervened in its technological ecosystem at the national level with the goal of achieving technological self-reliance. This has led to stronger corporate control, increased use of China-centric data, and a rise in domestic developers. Since AI development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raining data and the developers' perspectives, this pro-China development environment has contributed to the unique Chinese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DeepSeek's responses. Internally, since Xi Jinping came to power, China has strengthened ideological control in pursuit of political stability, establishing legal frameworks to regulate online spaces. These regulations ensure that the provision and use of AI services remain aligned with core socialist values, thereby limiting the scope and expressions of DeepSeek's responses.

목차

Ⅰ. 서론
Ⅱ. 딥시크의 등장과 중국 인공지능 기술 성장
Ⅲ. 딥시크 이념화의 대내외적 요인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주(Eunju Lee). (2025).딥시크와 중국 인공지능의 이념화. 세계지역연구논총, 43 (3), 39-62

MLA

이은주(Eunju Lee). "딥시크와 중국 인공지능의 이념화." 세계지역연구논총, 43.3(2025): 39-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