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국 중등 교육 과정 역사 학습서의 제1차 세계대전기 중동 서술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the Depiction of the Middle East during World War I in UK Secondary Education History Textbooks
발행기관
통합유럽연구회
저자명
박은재(Eunjae Park)
간행물 정보
『통합유럽연구』제16권 1집, 97~12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중동 지역의 상시적인 갈등과 비극적인 전쟁의 원인을 되짚어 볼 때 영국의 역사적 책임이 중대하다는 점은 누구도 부인하지 못한다. 영국은 19세기 후반 이래 수에즈 운하를 둘러싼 지역을 통제하기 위해 이집트를 점령했고, 제1차 세계대전(1914~1918) 중에는 전쟁 승리를 위해 아랍인들과 유대인들 각각에게 팔레스타인 지역에 대한 모순되는 약속을 함으로써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는 여러 분쟁의 씨앗을 뿌렸다. 본 연구는 20세기 이래 중동 지역의 상황에 대한 영국의 역사적 역할에 대한 인지 및 인식이 제1차 세계대전에 대한 중등 교육과정 역사 학습의 서술 속에 등장하는지, 만약 그렇다면 어떤 방식으로 서술되는지 살펴본다. 오늘날 영국 역사교육의 다문화적 지향과 세계사적 상호 영향에 대한 가치 부여에도 불구하고 시중의 학습서들에서 중동 지역과 영국이 주고 받은 역사적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는 서술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기는 힘들다. 중등학교 졸업시험용 학습서에서는 주로 영국의 역할이 누락되거나 아주 피상적으로만 다루어질 뿐이다. 보다 심화 수준의 학습서에서는 중동 지역의 정세와 분쟁에 핵심적 영향을 미친 여러 협정들이 명시되는 등 영국의 행보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세한 서술이 제공된다. 하지만 그 경우에도 영국의 역사적 책임에 대한 충분한 인식을 돕는 방식의 서술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이같은 협소한 시각은 학교 현장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교사들의 배경과 문제의식, 전쟁 발발 백주년을 기념하는 기억문화는 전쟁 당시의 백인 영국인들의 경험인 애국심과 희생을 부각하고 백인 영국인을 중심으로 하는 역사 이해를 확산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결국 식민지에 대한 동원과 식민지인들의 경험, 그리고 중동을 포함한 비서구 지역에 미친 영향에 대해 학생들이 폭넓게 인식함으로써 세계사 속에서의 영국사에 대해 생각할 수 있도록 해 줄 서사는 점점 입지를 잃어갈 우려가 있다. 이렇게 된다면, 오늘날 중동을 바라보는 폭력과 테러라는 틀이 더욱 공고화 할 가능성이 있음은 지나친 생각만은 아닐 것이다.

영문 초록

Britain holds significant historical responsibility for the ongoing conflicts in the Middle East. Since the late 19th century, Britain occupied Egypt to control the Suez Canal and, during World War I (1914-1918), made contradictory promises to both Arabs and Jews regarding Palestine. These actions laid the foundation for enduring regional conflicts. This study examines how Britain’s role in shaping the modern Middle East is represented in British secondary school history textbooks, particularly in relation to World War I. Despite the multicultural direction of British history education, textbooks generally fail to adequately address Britain’s historical impact on the Middle East. Secondary-level textbooks often omit or superficially cover Britain’s role, while higher-level textbooks provide more detailed accounts of key agreements and policies. However, these narratives frequently lack critical engagement with Britain’s historical responsibility. In classrooms, a (white) British-centric perspective is further reinforced by teachers’ backgrounds,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World War I centennial commemorations, which emphasize national sacrifice and patriotism from a white British viewpoint. As a result, colonial mobilization, the experiences of colonized peoples, and the destructive impact of British actions on the Middle East risk being marginalized. This trend may further solidify a Western narrative that views the Middle East primarily through the lens of violence and terrorism, hindering a more nuanced and historically informed understanding of the region.

목차

I. 서론
II. 제1차 세계대전에 대한 서술상의 주요요소와 중동에 대한 서술
III. 현장의 제1차 세계대전 교육경향
IV.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은재(Eunjae Park). (2025).영국 중등 교육 과정 역사 학습서의 제1차 세계대전기 중동 서술 분석. 통합유럽연구, 16 (1), 97-123

MLA

박은재(Eunjae Park). "영국 중등 교육 과정 역사 학습서의 제1차 세계대전기 중동 서술 분석." 통합유럽연구, 16.1(2025): 97-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