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탈식민화 시대 협력의 겉옷을 걸친 EU-아프리카 관계 연구: 로마조약(the Treaty of Rome, 1957), 야운데 협약(the Yaoundé Convention, 1963), 로메 협약(the Lomé Convention, 1975)을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f EU-Africa Relations Under the Guise of Post-Colonial Collaboration: Focusing on the Treaty of Rome(1957), the Yaoundé Convention(1963), and the Lomé Convention(1975)
발행기관
통합유럽연구회
저자명
김유정(Yoo-Joung Kim)
간행물 정보
『통합유럽연구』제16권 1집, 189~22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프랑스를 비롯한 아프리카에 식민지를 소유하고 있었던 서유럽 국가들이 경제종속을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EU와 아프리카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던 배경 및 정치적 동인을 설명하는 데 주된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1957년 로마조약, 1963년 야운데 협약, 1975년 로메 협약을 중심으로 EU-아프리카 협력이 '상호의존'과 '상호협력'이라는 명목 아래 실제로는 식민지 지배 구조의 지속을 의미했음을 분석하고자 한다. 유럽인들이 진심으로 과거 식민주의 유산과 사고방식을 폐기하지 않는 이상 유럽통합을 통해 제도화된 EU-아프리카 협력은 ‘제국주의 기획’ 또는 ‘Post-colonialism 실천’이라는 비판을 면치 못한다는 것이 본 연구자의 주된 문제의식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유럽통합이 전후 유럽에서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는 ‘평화의 기획’으로 설명되지만, 다른 한편 식민지에 대한 유럽의 지배력을 유지하기 위한 도구의 역할도 했던 이중적 본질을 밝힘으로써 그동안 간과되고 편집되었던 유럽통합 역사의 불편한 진실을 드러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eks to elucidate the political motivations and historical context underlying the active promotion of EU-Africa cooperation by Western European states, including France, as a mechanism for sustaining economic dependency in the Postcolonial era. By conducting a detailed analysis of key agreements such as the 1957 Rome Treaty, the 1963 Yaoundé Convention, and the 1975 Lomé Convention, this research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EU-Africa cooperation—ostensibly framed in terms of “interdependence” and “mutual cooperation”—functioned as a means of perpetuating colonial structures of economic and political influence. A central argument of this study is that, unless Europe fundamentally repudiates its colonial legacy and associated ideological frameworks, the institutionalized EU-Africa partnership will remain subject to critiques as an extension of imperialist ambitions or a manifestation of Postcolonial hegemony. While European integration is frequently characterized as a “peace project” designed to ensure stability in postwar Europe, this research underscores its dual nature, revealing how it simultaneously operated as a strategic instrument for maintaining European dominance over its former colonies. By critically engaging with the often-overlooked dimensions of European integration history, this study seeks to expose the uncomfortable historical continuities that challenge prevailing narratives of European unity and progress.

목차

Ⅰ. 서론
Ⅱ. 주류 유럽통합 이론의 한계와 식민주의 연구
Ⅲ. 유럽통합에 드리워진 제국의 그림자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유정(Yoo-Joung Kim). (2025).탈식민화 시대 협력의 겉옷을 걸친 EU-아프리카 관계 연구: 로마조약(the Treaty of Rome, 1957), 야운데 협약(the Yaoundé Convention, 1963), 로메 협약(the Lomé Convention, 1975)을 중심으로. 통합유럽연구, 16 (1), 189-220

MLA

김유정(Yoo-Joung Kim). "탈식민화 시대 협력의 겉옷을 걸친 EU-아프리카 관계 연구: 로마조약(the Treaty of Rome, 1957), 야운데 협약(the Yaoundé Convention, 1963), 로메 협약(the Lomé Convention, 1975)을 중심으로." 통합유럽연구, 16.1(2025): 189-2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