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North African Jews and the Role of the Grande Mosquée de Paris During the Nazi Occupation
- 발행기관
- 통합유럽연구회
- 저자명
- 박단(Dahn Park)
- 간행물 정보
- 『통합유럽연구』제16권 1집, 125~15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26년에 건립된 파리 대모스크는 시기마다 서로 다른 기억의 대상이 되었다. 1차 세계대전 직후에는 프랑스에 헌신한 무슬림을 추모하는 공간으로, 2차 세계대전 동안에는 핍박받는 유대인의 은신처로, 그리고 21세기 초반 이슬람 극단주의에 의한 테러가 빈번할 때는 이슬람 원리주의에 맞서 ‘프랑스공화국’을 대변하는 공간으로 기억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시점의 기억 가운데 특히 나치 점령기 유대인 구출 장소로서 기능한 것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이 논문의 주요 목적은 나치 점령기 동안 파리 대모스크가 유대인 피난처로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그 실제를 구체적으로 밝히는 데 있다기보다, 이슬람과 유대인 관계의 일면을 당시의 정황과 그에 대한 후대의 기억을 통해 평가하려는 데 있다. 이슬람을 대표하는 파리 대모스크와 나치 점령기 곤경에 처한 유대인이 과연 프랑스 내 소수자로서 상호 유대 관계가 있었는지, 이에 대한 기억은 혹시 오늘날 곤경에 처한 프랑스 내 무슬림들이 과장한 것은 아닌지에 대해서도 그 일면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파리 대모스크의 유대인 구출이 어느 정도 사실에 근접할 수 있었던 상황인지, 즉 당시 파리 대모스크의 특성과 그 책임자 뱅가브리트의 유대인에 대한 입장에 대해 천착해 볼 것이다.
영문 초록
Built in 1926, the Grande Mosquée de Paris has served as a subject of differing memories across time. In the aftermath of World War I, it was perceived as a space for commemorating Muslims who had devoted themselves to France. During World War II, it became known as a refuge for persecuted Jews. In the early 21st century, when terrorist attacks by Islamic extremists became frequent, the mosque was viewed as a bastion representing the French Republic against Islamic fundamentalism.
This paper focuses on one particular aspect of these multiple layers of memory: the memory of the Grande Mosquée de Paris as a site of Jewish rescue during the Nazi occupation. In other words, rather than seeking to uncover the precise historical reality of the mosque’s role as a shelter for Jews during the occupation,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specific aspect of Muslim-Jewish relations through both the contemporary context of that period and its later recollection. This paper will explore whether the Grande Mosquée de Paris, as a representative institution of Islam, had any tangible bonds with Jews who found themselves in dire circumstances under Nazi rule. Additionally, it will consider whether this memory has been exaggerated by present-day French Muslims facing adversity.
This study will further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the claim of Jewish rescue by the Grande Mosquée de Paris aligns with historical realities. Specifically, it will delve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sque at the time and the stance of its director, Kaddour Benghabrit, toward Jews. By doing so, it aims to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onditions that may have allowed the mosque to function as a place of refuge.
목차
I. 머리말
II. 비시정부 및 나치 점령 당국의 반유대주의 정책과 파리 지역 유대인 상황
III. 파리 대모스크의 유대인 구출
IV. 맺음말- 해방 후 유대인 단체 및 이스라엘의 평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오리엔탈 카펫(Oriental Carpet)의 유럽 수출입의 의미: 터키 카펫(Turkish Carpet)을 중심으로
- 누리예 울비예(Nuriye Ulviye)의 여권 운동과 『여성계(Kadınlar Dünyası): 오스만 황실 궁녀에서 페미니스트 언론인으로 거듭나다
- 헝가리의 이슬람 기억의 장소: 페츠(Pécs)의 여코발리 허싼(Jakováli Hasszán), 가지 카심(Gazi Kasim) 모스크를 중심으로
- 19세기 예술사적 관점에서 바라본 유럽 통합의 전조: 디에고 마르텔리와 마키아이올리, 그리고 인상주의
- 나치 점령기 북아프리카 유대인과 파리 대모스크의 역할
- 문화적 정체성 이론을 통한 포막족 결혼식 분석: 공동체 결속과 전통의 역할
- 유럽연합(EU)의 위험완화 전략과 중국산 전기차 상계관세: 미국 통상법 301조 관세 조치와의 비교
- 영국 중등 교육 과정 역사 학습서의 제1차 세계대전기 중동 서술 분석
- 탈식민화 시대 협력의 겉옷을 걸친 EU-아프리카 관계 연구: 로마조약(the Treaty of Rome, 1957), 야운데 협약(the Yaoundé Convention, 1963), 로메 협약(the Lomé Convention, 1975)을 중심으로
- 인문학적 관점에서 본 대전환기의 루마니아 외교정책과 한반도에의 함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