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ignificance of the Import and Export of Oriental Carpets in Europe: A Focus on Turkish Carpets
- 발행기관
- 통합유럽연구회
- 저자명
- 최선아(Sunah Choi)
- 간행물 정보
- 『통합유럽연구』제16권 1집, 43~7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카펫은 바닥을 덮는 직물로, 중앙아시아와 서아시아의 유목민을 통해 발전했으며, 유럽과 중동 간의 교류의 결과로 현대 유럽 생활에 자리 잡았다. 본 논문은 기존의 카펫 수출입에 대한 개별 사례 연구가 아닌, 총체적인 오리엔탈 카펫의 수출입의 흐름을 다루며 카펫의 수출입이 유럽 사회에 미친 영향을 짚어본다.
유럽에서는 11세기부터 중동산 카펫이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며, 14세기부터 본격적으로 문헌과 회화에서의 카펫 묘사가 증가했다. 15세기~16세기에는 카펫 수출이 활성화되며, 르네상스 화가들이 작품에 카펫을 묘사했다. 유럽 왕실과 귀족 계층의 사치품이었던 카펫은 유럽에서 부의 확대로 인해 점차 다른 계층에까지 확산되었다. 유럽에서 카펫은 초기에는 권위와 인테리어를 위한 도구였으나, 실용적이고 장식적인 용도로 사용되었다. 유럽은 동방에서 수입한 카펫을 모방해 제작하며 자체 생산에 성공했으며, 특히 프랑스와 영국이 카펫 산업의 중심지가 되었다. 유럽산 카펫은 오스만제국 등 동양으로 역수출되었고, 이것은 오스만제국의 카펫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유럽은 오스만제국에 자체 카펫 공장을 건설하고, 독점권까지 획득해 카펫 산업 전반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카펫은 유럽 사회를 획기적으로 변화시킨 상품은 아니었으나, 생활 양식과 문화 예술에 조용히 개입하고 공간을 변화시킨 상품으로 현대까지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함께 유럽에 수입된 동방 카펫은 단순한 상품이 아닌 동서양 문화와 산업 교류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Carpets, originally developed by nomadic cultures in Central and West Asia, became integral to modern European life through centuries of cultural and commercial exchanges between Europe and the Middle East. This study explores the overarching trends in the import and export of Oriental carpets, focusing on their broader societal impact in Europe rather than individual case studies.
Oriental carpets likely arrived in Europe as early as the 11th century, with their depiction in literature and art increasing significantly from the 14th century. Carpet exports from the East became prominent during the 15th and 16th centuries, a period when Renaissance painters frequently featured them in their works. Initially luxury items for European royalty and aristocracy, carpets gradually spread to other social classes with the expansion of wealth. Serving as symbols of authority and tools for interior decoration, carpets also fulfilled practical and aesthetic roles in European households.
By emulating Eastern designs, Europe developed its own carpet production industry, with France and England becoming major centers. European carpets were subsequently exported to the Orient, including the Ottoman Empire, where they influenced local designs. European powers also established carpet factories in the Ottoman Empire, securing monopolistic control and influencing the region's carpet industry.
Although carpets did not cause radical societal change, they subtly influenced European culture, art, and spatial practices. Still in use today, carpets symbolize enduring cultural and industrial exchanges between East and West.
목차
Ⅰ. 서론
Ⅱ. 유럽으로 진출한 동방 카펫
Ⅲ. 유럽에 기록된 동방 카펫
Ⅳ. 유럽 회화 예술에 묘사된 동방 카펫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오리엔탈 카펫(Oriental Carpet)의 유럽 수출입의 의미: 터키 카펫(Turkish Carpet)을 중심으로
- 누리예 울비예(Nuriye Ulviye)의 여권 운동과 『여성계(Kadınlar Dünyası): 오스만 황실 궁녀에서 페미니스트 언론인으로 거듭나다
- 헝가리의 이슬람 기억의 장소: 페츠(Pécs)의 여코발리 허싼(Jakováli Hasszán), 가지 카심(Gazi Kasim) 모스크를 중심으로
- 19세기 예술사적 관점에서 바라본 유럽 통합의 전조: 디에고 마르텔리와 마키아이올리, 그리고 인상주의
- 나치 점령기 북아프리카 유대인과 파리 대모스크의 역할
- 문화적 정체성 이론을 통한 포막족 결혼식 분석: 공동체 결속과 전통의 역할
- 유럽연합(EU)의 위험완화 전략과 중국산 전기차 상계관세: 미국 통상법 301조 관세 조치와의 비교
- 영국 중등 교육 과정 역사 학습서의 제1차 세계대전기 중동 서술 분석
- 탈식민화 시대 협력의 겉옷을 걸친 EU-아프리카 관계 연구: 로마조약(the Treaty of Rome, 1957), 야운데 협약(the Yaoundé Convention, 1963), 로메 협약(the Lomé Convention, 1975)을 중심으로
- 인문학적 관점에서 본 대전환기의 루마니아 외교정책과 한반도에의 함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