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ction Research of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Using Smart Devices for Cultivating Ecological Citizenship: Focusing on the topic elective classes of a middle school free-semester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화명(Hwamyung Kim) 이재진(Jaejin Lee)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4호, 201~23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학교 자유학기 주제선택 수업에서 생태시민성 함양을 위한 스마트기기 활용 생태전환교육 수업안을 계획하여 실행하고, 성찰 및 개선하는 과정이 학습자들의 생태시민성 함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수업 도구 중의 하나로서 스마트기기를 활용함으로써 스마트기기가 생태시민성 함양을 위한 생태전환교육 실행 과정의 수업 도구로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실행연구 방법에 기반하여 2023년 A중학교 1학년 학습자 20명을 대상으로 1, 2차 수업을 실행하고 2024년 A중학교 1학년 학습자 18명을 대상으로 3차 수업을 실행하였으며, 문헌 연구, 면담, 설문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 번째 연구 문제인 생태시민성 함양을 위한 스마트기기 활용 주제선택 수업안은 주제별로 총 6회, 12차시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두 번째 연구 문제인 생태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지식과 이해, 덕성, 책임과 관계성, 지속가능성, 참여 영역 전반에 걸쳐 생태 문제에 대한 관심 정도, 경험 및 실천 의지 변화 등이 나타났다. 세 번째 연구 문제와 관련하여 스마트기기 활용은 관심 및 참여도 향상, 다양한 표현, 폭넓은 정보 제공, 공유 경로의 다양성, 작품 보관, 종이 절약 등의 면에서 의미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 과정을 통해 생태전환교육에서 생태시민성 함양이 중요하며 생태시민성을 구성하는 요소 간 긴밀한 연계성이 존재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생태전환교육에서 스마트기기 활용의 유용성 및 부정적 측면을 감소시키는 방안, 안내자 및 협력자로서 교사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how the process of planning, actioning, reflecting, and improving the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plan using smart devices to foster ecological citizenship in the subject selection class of middle school free semesters affects learners' ecological citizenship. The authors tried to examine what role smart devices can play as teaching tools in the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action process to foster ecological citizenship.
Methods: Based on the action research method, the first and second classes were conducted for twenty first-year learners of A middle school in 2023, and the third class was conducted for eighteen first-year learners of A middle school in 2024. Literature reviews interviews, and questionnaire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The subject selection class plan using smart devices to foster ecological citizenship consisted of a total of six sessions and twelve sessions for each topic. The influence on the cultivation of ecological citizenship wa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virtue, responsibility and relationship, sustainability, changes in the degree of interest in ecological issues, experience and willingness to practice across the participation areas.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smart devices was meaningful in terms of improving interest and participation, providing various expressions, providing broad information, diversity in sharing paths, storing works, and in saving paper.
Conclusion: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it can be confirmed that fostering ecological citizenship is important in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and there is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elements that make up ecological citizenship. Measures to increase the usefulness and decrease negative aspects of using smart devices, along with the role of teachers as guides and collaborators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1, 2차 수업의 실행과 성찰
Ⅴ. 3차 수업의 실행과 성찰
Ⅵ. 논의
Ⅶ.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교육 제41권 제4호 목차
- 체육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중학생의 공동체 의식과 그릿에 미치는 영향
- AI 창작 음악교육이 초등학생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학교 경제·금융교육 활성화를 위한 시도 교육청 경제·금융교육 지원 조례 분석
- 생태시민성 함양을 위한 스마트기기 활용 생태전환교육 실행연구 - 중학교 자유학기제 주제선택 수업을 중심으로
- AI 코스웨어 기반 사회정서학습 지원 교원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셰복(D. Shevock)의 생태문해적 음악 교수법 연구
-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다문화 음악 제재곡 분석 및 메타버스 기반 교수·학습 방안 탐색
- 진로전담교사의 진로상담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대학교원 학습공동체 활동의 특성과 주요 주제 탐색 - 토픽모델링 기반 사례분석
- 초등교사의 소진에 대한 변화궤적 유형 및 예측요인
- 중등 초임교사의 적응 재개념화 - 정체성 형성과 맞춤화 전략
- 학생들의 개념 진단 문항 개발과 적응형 학습 적용 가능성 탐색 - 빛의 합성 개념 중심으로
- 스포츠참여 고등학생의 사회적지지와 신체적자기개념 및 회복탄력성의 관계
-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단위학교 자율 점검 요소 탐색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ducation and Teaching Vol.3 No.7 Contents
- 自我教育期望对智慧课堂学习投入的影响:以意向性自我调节为中介
- 应用型高校的教育家精神:传统根源与当代创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