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AI-Based Create Music Education on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신기호(Giho Shin)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4호, 233~24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인공지능(AI) 기반 음악 창작 수업이 초등학생의 음악 교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음악 교과에 대한 흥미, 자기효능감, 학습 몰입 및 참여 태도의 변화를 중심으로 수업 전후의 인식 변화에 대해 양적 연구를 거쳐 검토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191명이며, 인공지능 작곡 도구를 활용한 4차시 AI 창작 음악 수업을 실시하고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학습자를 구분하는 6문항과 음악 활동 선호의 복수응답 1문항, 이 중 5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한 23개 문항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정과 Pearson 상관분석, 기술통계 및 효과크기(Cohen’s d) 분석을 통해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수집된 데이터 분석 결과에서 전반적인 인식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특히 「나는 작곡이 쉽다고 생각한다」, 「나는 음악시간이 더 많았으면 좋겠다」, 「다른 과목보다 음악을 더 잘하고 싶다」 등의 문항에서 큰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 중 Q7 문항(작곡 인식)의 Cohen’s d는 1.75로 매우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AI 도구가 작곡 활동에 대한 심리적 진입 장벽을 완화하고 창작 경험을 확장시키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했음을 시사한다. 반면 일부 문항은 높은 사전 평균값으로 인해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수업 전 학습자의 인식 수준과 변동 가능성 간의 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AI 기반 음악 창작 수업이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서 학습자의 내적 동기, 자기효능감, 몰입 및 참여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향후 음악교육에서 AI 도구를 활용한 창작 중심 수업의 교육적 가치와 확장 가능성 제공하며, AI 리터러시와 음악 중심 타 교과 간의 융합 교육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AI-based music composition clas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toward Music Education. Specifically, it analyzes changes in students’ interest, self-efficacy, learning engagement, and attitudes toward participation in music classes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of pre- and post-intervention surveys.
Method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91 fifth and sixth graders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A four-session music class utilizing an AI-assisted composition tool was implement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re- and post-class surveys. The survey included 30 items: six demographic questions, one multiple-response question on music activity preferences, and 23 questions using a 5-point Likert scale. Data analysis involved paired-sample t-test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effect size analysis using Cohen’s d.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found in overall student perceptions following the AI-based music composition class. Particularly notable were large increases in responses to items such as “I think composing music is easy”, “I wish there were more music classes” and “I want to perform better in music class than in other subjects.” The question on composition perception (Q7) showed a very large effect size (Cohen’s d = 1.75), suggesting that AI tools effectively reduced psychological barriers to music creation and expanded students’ creative experiences. However, certain items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due to high pre-test scores, highlighting the need to consider initial perception levels and potential variability among student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integrating AI-based creative music education into classrooms can positively influence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self-efficacy, engagement, and participation attitudes beyond mere technological incorporation. This study also highlights the educational value and potential for the expansion of AI-driven creative music instruction, providing foundational insights for developing integrated education models that bridge music, AI literacy, and other subject area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교육 제41권 제4호 목차
- 체육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중학생의 공동체 의식과 그릿에 미치는 영향
- AI 창작 음악교육이 초등학생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학교 경제·금융교육 활성화를 위한 시도 교육청 경제·금융교육 지원 조례 분석
- 생태시민성 함양을 위한 스마트기기 활용 생태전환교육 실행연구 - 중학교 자유학기제 주제선택 수업을 중심으로
- AI 코스웨어 기반 사회정서학습 지원 교원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셰복(D. Shevock)의 생태문해적 음악 교수법 연구
-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다문화 음악 제재곡 분석 및 메타버스 기반 교수·학습 방안 탐색
- 진로전담교사의 진로상담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대학교원 학습공동체 활동의 특성과 주요 주제 탐색 - 토픽모델링 기반 사례분석
- 초등교사의 소진에 대한 변화궤적 유형 및 예측요인
- 중등 초임교사의 적응 재개념화 - 정체성 형성과 맞춤화 전략
- 학생들의 개념 진단 문항 개발과 적응형 학습 적용 가능성 탐색 - 빛의 합성 개념 중심으로
- 스포츠참여 고등학생의 사회적지지와 신체적자기개념 및 회복탄력성의 관계
-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단위학교 자율 점검 요소 탐색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资本逻辑下“00 后”大学生婚恋抑制的审视与解放
- 重构个体与生产资料的连接方式——马克思主义视角下社会工作介入轻罪治理体系的逻辑
- A Review of Research on the Governance of Cross-Border Data Flow from the Perspective of Administrative Law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